회원로그인

산삼 채취 문화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 :11-12-04 00:01|

본문

산삼 채취문화에 대한  고찰 
 
산삼을 채취할 수 있는 시기는 4월 중순부터 11월 초까지이다.

산삼은 예전부터 희소성으로 그 가치가 높았기 때문에, 한반도에는 전문적으로 산삼만을 찾아 돌아다니는 소위 심마니들이 있어 왔다. 

이들은 산삼 채집 과정에 토속 신앙을 엮어서 독특한 생활방식과 채취의식을 지켰으며, 심마니들만이 사용하는 특수한 은어를 만들었다. 

예로, 이들은 입산 날짜를 정하면 산에 들어가는 날까지 고기를 먹지 않거나 살생을 금하였으며, 집을 떠나거나 입산 장소 민가에서 머물 때에는 인사 등을 일체 하지 않는다. 입산일에는 산신제, 수배제, 어인선생제 의식을 거행한다. 

이후 산삼을 발견했을 때도 산삼 분배 및 소유권에 대한 심마니들만의 규칙이 있다. 

산삼 획득 후 감사의 표시로 산신제를 올린다.

이들은 산삼을 캘 때 가는 뿌리(지근, 支根)가 다치지 않도록 조심해서 채취하는데, 이는 지근이 끊어지는 등 다치면 산삼이 놀라며 이를 먹은 사람도 놀란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라 한다. 

같은 이유로 지근이 끊어진 산삼은 제 값을 받지 못한다.

0

산삼스토리 목록

산삼스토리 목록
금방 캐낸 산삼 - 4 인기글 (2013-04-11 14:03:23)
금방 캐낸 산삼 - 5 인기글 (2013-04-11 13:59:31)
산삼캐기 인기글 (2013-04-11 13:56:40)
산삼꽃과 산삼 인기글 (2013-04-11 13:53:28)
산삼주 한병 인기글 (2017-12-18 20:16:37)
양각양절삼 인기글 (2017-12-18 20:04:50)
야생 산삼 인기글 (2013-04-16 09:24:29)
산삼전시장 -1 인기글 (2013-04-16 09:23:04)
산삼전시장 -2 인기글 (2013-04-16 09:22:05)
산삼전시장 -3 인기글 (2013-04-16 09:20:56)
산삼전시장 -4 산삼캐기 인기글 (2013-04-16 09:19:21)
산삼전시장 -5 인기글 (2013-04-16 09:18:43)
산삼전시장 -6 인기글 (2013-04-16 09:16:50)
산삼전시장 -7 인기글 (2013-04-16 09:15:09)
산삼전시장 -8 인기글 (2013-04-16 09:13:19)
산삼전시장 -9 인기글 (2013-04-16 09:12:38)
산삼전시장 -10 인기글 (2013-04-16 09:11:18)
산삼전시장 -11 인기글 (2013-04-16 09:08:05)
산삼전시장 -12 인기글 (2013-04-16 09:05:37)
산삼에 대한 상세한 이해 인기글 산삼의 최초의 싹(3행) 인위적 개갑과정을 거치지 않고 발아된 싹은 3엽으로 나오며 씨가 땅에 떨어져 자연발아까지는 약 3년정도 걸린다. 이때는 딸의 외피가 뿌리에 붙어있다. 인삼은 인위적 개갑을 통하여 그 이듬해에 싹을 틔운다. 5행 (5엽) 3엽에서 1~2년이…(2018-05-08 19:06:32)
계절에 따라 산삼복용법 잘 읽어보고 참조하세요 인기글 ​산삼의 효능은 만병통치 정도로 많지만 특별하게 한가지 효능을 잘 아시는지요 ?​손발이 유난이 차고 추의를 많이 타거나 자고 나면 손발이 저린 사람의 겨우 대개는 모세혈관의 수축으로 혈액순화이 잘 안되는 경우에 효능이 제일 좋습니다 이런 분들이 산삼을 먹으면 냉증이 없어지는데 ,그래서 소년시절에 산삼을 먹으면 평생 …(2017-03-06 21:25:10)
산삼공부에 도움이 돠시길 바랍니다 인기글 산삼공부에 도움이 돠시길 바랍니다 1. 산삼의 자생 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인삼재배 경력이 있는 지역이어야 한다. 인삼을 수확 한지 30년쯤 지났으면 좋은 산삼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인삼재배를 아는 방법은 주민들에게 물어볼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고는 인삼재배 당시 삼칸을 이루고 있던 발이나 막대기 또는 삼막과 밭고랑을 보면 알 수 있다. 2.산의 방향과 산삼 산삼은 북동 쪽에 75%정도 자생한다. 남동쪽은,18% 남서6% 북서는1%, 북동간 방향은 아침에 동쪽에서 비쳐오는 했볕을 맞…(2016-10-30 15:44:07)
산삼 장기 보관법 인기글 산삼 장기 보관법 산삼은 바로 드시는 것이 좋으나 부득이 보관을 하고자 할때에는 잎과 줄기가 있는 경우 바람이 통하는 선선한 곳에 잎과 뿌리는 뇌두고 뿌리부분만을 이끼로 싸서 스프레이로 물을 촉촉히 뿌려두어 약 10-20일이 지나면 잎과 줄기의 자양분이 뿌리로 내려가고 잎과 줄기가 마르게 되는데 충분히 말랐으면 잎과 줄기는 떼어내고 뿌리만을 보관합니다. 산삼 뿌리는 이끼로 싼 다음 촉촉히 물을 적셔두고 냉장고에 보관합니다. 더 좋은 방법은 진공상태로 밀봉하여 김치냉장고에 보관하면 더…(2013-08-14 14:00:13)
산삼의 유명한 산지를 찾아서 인기글 산삼의 유명한 산지를 찾아서 산삼의 산지는 유명한 산이 따로 있으며 이런 산에서 캔 산삼은 여타 장소에서 채집한 산삼보다 더 영험한 효과가 있다는 주장이 있다. 근거 있는 믿음인 같다. 음행오행 정기가 넘치는 백두산은 산삼성장환경이 가장 좋은 산이다 특히 모든 식물이나 동물은 춥고 열악한 악조건을 이기며 자란 것이 질적으로 최고이다 따라서 백두산의 최고 강추위와 변화무쌍한 환경으로 이어지는 악조건을 이기며 자란다는 자체가 최고가 되는 것이다 .진시황제가 찻던 불로초, 그것이 바로 …(2011-12-04 00:39:26)
산삼의 나이 (삼령, 蔘齡) 인기글 산삼의 나이 (삼령, 蔘齡) 산삼의 수명이 얼마나 되는지 검증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중에 팔리는 산삼의 나이(삼령, 蔘齡)는 검증 없이 부풀려지는 경우가 많다(백 년 단위로 불리는 때도 많다). 산삼의 나이를 아는 방법으로 기존에 널리 퍼진 방법은 네 가지이다.뇌두: 뇌두는 줄기가 붙어 있다가 말라 죽은 흔적이다…(2011-12-04 00:08:08)
[열람중]산삼 채취 문화에 대한 고찰 인기글 산삼 채취문화에 대한 고찰  산삼을 채취할 수 있는 시기는 4월 중순부터 11월 초까지이다. 산삼은 예전부터 희소성으로 그 가치가 높았기 때문에, 한반도에는 전문적으로 산삼만을 찾아 돌아다니는 소위 심마니들이 있어 왔다. 이들은 산삼 채집 과정에 토속 신앙을 엮어서 독특한 생활방식과 채취의식을 지켰으며, 심마니들만이 사용하는 특수한 은어를 만들었다. ​ 예로, 이들은 입산 날짜를 정하면 산에 들어가는 날까지 고기를 먹지 않거나 살생을 금하였으며, 집을 떠나거나 입산 장소 민가…(2011-12-04 00:01:33)
산삼의 특이점 휴면 인기글 산삼의 특이점 휴면산삼의 특이점 중 하나가 이 휴면(休眠) 상태이다. 휴면은 산삼이 생존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외부 요인이 발생할 때 자기 보호 수단으로 발동하는 것으로 추측하기도 하나, 정확한 원인 및 검증된 휴면 기간 연구 결과는 아직 없다. 예를 들어 벌목으로 빛을 가리던 나무들이 사라져 일사량이 증가할 때, 또는 나무가 지나치게 무성해져 빛이 약해질 때, 토양의 수분이 과다하게 늘어날 때, 또는 그 반대로 물기가 지나치게 줄어들 때, 땅의 얼음이 덜 녹아 뿌리를 뻗기에 지나치게 차…(2011-12-03 23:47:41)
산삼의 생장에 대한 고찰  인기글 산삼의 생장에 대한 고찰 새가 자연 산삼 또는 인삼의 열매를 먹은 뒤, 근처 삼림 지대에서 배설물을 뿌리면 나무 아래서 뿌리가 내리고 발아하게 된다. 새가 먹느냐 짐승이 먹느냐에 따라 산삼의 평가에 차등을 두기도 하는데, 새의 위장을 통과하면서 장 속의 화학적 작용으로 씨앗이 발아하기에 적합한 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보통 땅에 떨어진 씨앗이 발아하기까지는 2년이 걸린다고 한다. 발아한 뒤 삼대로 불리는 줄기가 나오며, 이 삼대에서 잎자루 1개가 돋는다. 잎자루에서는 3개의 잎이 …(2011-12-03 23:39:04)
산삼을 분류하면 인기글 산삼을 분류하면 자연생 산삼: 다른 이름으로 조복삼(鳥腹蔘)으로도 부른다. 이는 사람이 아닌 새가 열매를 먹은 뒤 소화가 되지 않은 씨를 배설하고, 여기에서 싹이 돋아 자라는 경우를 말한다. 여기에도 구별이 있는데, 새가 자연생 산삼의 열매를 먹고 배설한 경우와 인삼 열매를 먹고 배설한 경우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자연생 산삼을 천종(天種)으로 최상급으로 치며 그 다음 지종(地種)산삼과 장뇌삼이다 장뇌삼은 주로 산장뇌삼(야생산삼)과 밭장뇌삼으로 분류한다 산장뇌삼 : 산장뇌삼은 야생삼을 말하는데 사…(2011-12-03 23:11:55)
산삼의 특징 인기글 산삼의 특징산삼은 기본적으로 여러해살이풀이기 때문에 해를 거듭하면서 조금씩 자란다. 크게 지상부(줄기, 잎)와 뿌리로 나뉜다. 지상부와 뿌리를 노두가 나누고 있다. 노두 아래를 뿌리로 부르는데, 이 뿌리는 땅속줄기로 볼 수 있으며 약용으로 쓰는 부위이다. ​ 뿌리는 수령이 찰수록 조금씩 성장하나 그 속도는 매우 느리다. 뿌리에는 보통 가락지로 부르는, 마디 비슷하게 생긴 횡추라는 구조가 형성이 된다.산삼은 열보다는 냉기에 강하다. 보통 영하 15도 정도에도 버틸 수 있는데, 이는 산삼 뿌리…(2011-12-03 23:00:31)
산삼의 서식지 인기글 산삼 서식지산삼은 현화식물이자 피자식물로 한반도에는 중생대 후기(1억 년 ~ 3,500만 년 전)부터 살기 시작했다고 추측된다. 산삼의 조상은 동남아시아에서 태어나 전 세계로 퍼져 나갔으나 자연산 삼 상태로 남아 있는 종류는 동북아시아의 고려인삼과 중국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 일부 지역을 빼고는 없다.자연산 고려인삼의 분포 지역은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 남부 일대, 연해주 일부 지역이다.​ 중국 만주 지역은 북위 43~47도, 동경 117~143도로 백두산과 흑룡강 일대, 길림성이 여기에…(2011-12-03 22:58:55)
 산삼에 대한 문헌기록 인기글 p {margin-top:0px;margin-bottom:0px;} 산삼에 대한 문헌기록 중국 문헌기록 가장 오래된 기록은 중국 문헌으로, 양나라 도홍경(陶弘景)이 지은 의학서적 《신농본초경집주》, 《명의별록》에 한반도 3국의 산삼을 언급하였다.《양서 梁書》 본기(本記)에 무제(武帝) 때 백제 무령왕이 산삼을 조공으로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진(陳)의 《국정백록 國政百錄》에는 고구려가 미역과 산삼을 보냈다는 기록이 나온다. ​ 1123년 송나라 서긍의 《선화봉사고려…(2011-12-03 22:45:14)
산삼의 역사을 찾아서  인기글 산삼 역사을 찾아서  과거 산삼의 주산지는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 지역, 연해주 일부였다. 특히 고구려의 영토는 앞의 지역들을 포함하고 있었기 때문에, 고려인삼은 고구려 판도 안에서만 서식하는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만리장성이 세워지면서 중국 본토와 만주 일대 동북부의 교류는 끊겼고 이 상황은 한 무제 때…(2011-12-03 22:39:43)
산삼의 개념에 대해  인기글 산삼의 개념에 대해  인삼 재배가 활성화되기 전 기록물에 나타난 인삼은 산삼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 용어이다. 그러나 인삼이 조선 후기 상품 작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은 자연산 인삼은 산삼이라는 이름으로 독립적인 개념을 얻게 된다. 자연산 인삼은 동북아시아의 고려인삼, 중국 일부 지역의 인삼, 북아메리카 일부 지방의 미국인삼 등으로 나뉘어진다. 한반도에서 산삼이라고 부르는 대상은 위 셋 중 자연산 고려인삼만을 가리키기 때문에 본 백두넷에도 자연산 고려인삼…(2011-12-03 22:29:12)
산삼을 정의하는 기준은? 인기글  산삼을 정의하는 기준은? p {margin-top:0px;margin-bottom:0px;} 산삼(山蔘)은 한반도, 중국만주 남부, 연해주 일부 지역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산삼은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은 과거 자연산 고려인삼으로 한반도 고유 명칭은 심, 방추 등이 있다. 산삼을 정의하는 기준은 사람의 손을 얼만큼 거치지 않았느냐에 따라 나뉜다.​보통 대한민국의 산삼 관련 서적들에서 산삼을 정의하는 기준은 뚜렷하지 않다. 다만 산삼은 사람의 손을 거치지…(2011-12-03 21:53:52)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4년 龍의 힘찬 기운을 받아 건강부자가 되세요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