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고령인의 건강관리에 대해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백두넷 | 작성일 :22-07-21 14:56|

본문

국제연합(UN)이 2015년에 재정립한 인간의 평생연령 기준(age group classification)에 따르면 0-17세 미성년자(minor)에서 18-65세 청년(youth), 66-79세 중년(middle-aged), 80-99세 노년(elderly/senior)을 거친 100세 이상을 장수노인(長壽老人, long-lived elderly)이라 한다.     

장수(長壽, longevity)란 생명체가 오래 사는 것을 뜻하며, 인간은 되도록 오래 살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단순히 오래 사는 것보다는 건강한 몸 상태를 유지하면서 오래 사는 것이 중요하다. 현대인은 생활수준 향상으로 기대 수명이 과거에 비해 크게 늘어났으나 국가간, 지역간 생활수준의 격차에 따라 평균수명의 차이가 발생한다. 기대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유전적 요인, 의료수준, 위생, 영양, 식생활, 운동, 생활양식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일본에서는 65세부터 74세까지의 노인을 ‘전기 고령자(前期高齡者), 그리고 75세부터는 ’후기 고령자(後期高齡者)‘라고 부른다. 한편 지난해 106세를 일기로 별세한 히노하라 시게아키(日野原重明, 1911-2017) 박사(의학)는 75세 이상을 ‘신노인(新老人)’이라고 부르고 ‘신노인회(新老人會)’를 조직하였다. 신노인회의 기본이념은 사랑ㆍ인내ㆍ창조에 두고 있으며, 75세 이상 고령자 중 자립할 수 있는 노인들이 회원으로 가입한다.   

히노하라 박사의 ‘신노인(新老人) 건강생활 수칙’은 다음과 같다. 

▲많이 사랑하고, 많이 사랑받는 사람이 건강하게 오래 산다. ▲죽는 시간까지 인생의 현역으로 산다는 자세를 갖자. ▲항상 창조하는 일을 하고 남을 위해 살자. ▲살기 어려운 것은 어느 세상에서나 똑같다고 생각하자. ▲남이 쉽게 방문할 수 있는 집에서 활발한 교제를 하자. ▲젊은 사람들의 관심사에도 귀를 기울이자.

 ▲항상 걷는 습관을 지니고 몸을 쉴 새 없이 움직이자. ▲노년 건강의 최대 위험은 낙상과 골절이므로 잘 구르는 연습을 하자. ▲몸에 좋은 심호흡과 복식호흡을 하자. ▲웃음으로 얼굴에 주름을 늘리자.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에서 최근 노인을 두 단계로 구분하려는 시도가 한창이다.

 즉 65-74세를 ‘준(準)고령인’이라 하고, 75세 이상을 ‘고령인(高齡人)’으로 하자는 내용이다. 건강은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75세 이후에는 신체 기능이 급격히 떨어지고, 80세부터는 앓는 질환도 늘어난다. 따라서 건강관리도 75세 전ㆍ후는 서로 달라야 한다.  

 

일본의 초고령화 현황은 인구 1억2700만명(2016년 10월 기준) 중 75세 이상 인구가 1700만 명이다.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27.3%이며, 2020년부터는 75세 이상 인구가 65-74세보다 많아 질 전망이다. 또한 노인 3명 중 2명이 혼자 또는 노인 커플끼리만 생활하고 있다.    

노년(老年)은 어차피 질병을 달고 사는 시기이므로 거주하는 곳에서 관리를 쉽게 해주는 것이 일본 의료정책의 핵심이다. 즉 의료의 목표가 질병 완치에서 질병 관리와 신체 기능 보존이므로 질병과 싸우지 않고 질병과 동행하는 의료 체계를 만들고 있다. 만성질환은 완치가 어려우므로 불편한 증상에 대해 완화를 도모하고 혼자서 살아갈 수 있는 거주환경과 의료 지원을 갖추는 데 주력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의 노인ㆍ재활병원은 환자를 조기에 재활시키고 회복시켜서 집에 가서 살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다.   

75세 이상이면 고혈당(高血糖)이라도 사망 위험은 낮은 편이므로 오히려 저(低)혈당을 주의해야 하며, 콜레스테롤 수치가 너무 낮으면 심근경색과 뇌졸중이 위험하며, 저체중(低體重)일수록 치매에 위험하므로 적정체중을 유지하여야 한다. 체질량지수(BMI)는 23-25(과체중)일 때 사망률이 낮으며, 식사는 육류(단백질)를 충분히 섭취하여야 한다.    

혈압(血壓)은 나이가 많을수록 목표 혈압을 높게 설정하고 있다. 즉, 준고령자는 140/90mmHg 미만으로 관리하지만, 고령자는 150/90 또는 160/100 미만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는 고령자의 혈압을 너무 강하게 관리하면 저혈압 등 부작용으로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혈당(血糖)은 준고령자는 중장년층과 비슷한 수준으로 관리하지만, 75세 이상 고령자는 좀 느슨하게 관리하여 저혈당 등 부작용을 예방하도록 한다. 당뇨병 관리를 위하여 규칙적으로 식사하기, 영양소 배분하기, 당(糖)지수(Glycemic Index)가 낮은 음식 먹기 등을 실천하는 것이 좋다. 당화혈색소(정상 6.5% 이하)는 건강한 고령자는 6.5-7.0%, 쇠약한 고령자는 8.5% 이하, 매우 쇠약한 고령자는 9.0% 이하를 목표로 삼는다. 

   

당화혈색소(HbA1C)란 적혈구의 혈색소에 당이 결합된 형태로서 3개월간 평균 혈당 수치를 반영한다. 집안일, 목욕 등 일상생활을 혼자서 무리 없이 하면 ‘건강한 고령자’, 누군가의 도움이 약간 필요하면 ‘쇠약한 고령자’, 혼자서는 불가능하면 ‘매우 쇠약한 고령자’로 구분한다.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나이가 75세 전후이다.    

 

콜레스테롤(cholesterol)은 우리 몸이 유지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성분이며, 거의 모든 세포의 구성성분으로 특히 뇌, 척수, 신경조직 등에 많이 들어 있다. 총콜레스테롤 200mg/㎗미만, 중성지방 200mg/㎗미만, LDL(저밀도지방단백질)콜레스테롤 130mg/㎗미만, HDL(고밀도지방단백질)콜레스테롤 40mg/㎗이상이면 적정수준으로 진단한다.

  

75세 이후엔 콜레스테롤 수치를 적절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콜레스테롤이 너무 줄어들면 혈관 벽이 약해져 뇌졸중, 심근경색 등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나이가 들어 각종 호르몬의 분비량이 감소한 상태에서 콜레스테롤이 줄어들면 신체균형이 더 빠르게 무너질 수 있다.    

고령인은 약간 과체중일 때 사망률이 낮다. 즉 75세 이후의 과체중은 신체 기능 저하로부터 일종의 완충재 역할을 하므로, 체질량지수(BMI)는 23-25가 적당하다. 체중이 치매(癡呆)에 미치는 영향도 75세 미만에서는 과체중과 비만이 치매 위험을 높이지만, 75세 이후에는 저체중(低體重)이 치매 위험을 높인다.  

낙상(落傷) 사고를 당하면 준고령인은 손목ㆍ팔ㆍ어께 등 상체에 부상이 집중되지만, 고령인은 다리ㆍ고관절 골절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75세 이상 고령인은 근육량이 적고 반응 속도가 떨어지지 때문에 넘어지면 손을 짚어 몸을 보호하지 못하고 엉덩방아를 찧는 경우가 많아 고관절 골절로 이어진다. 또한 나이가 들수록 골다공증(骨多孔症)이 더욱 심해져 골절로 이어지는 경우가 더 많다.   

고관절(股關節) 골절은 치명적일 수 있다. 중앙대 하용찬 교수(정형외과) 연구팀이 60세 이상 고관절 골절환자 32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골다공증 및 근감소증을 동시에 가진 환자의 1년 사망률은 15.1%로 골근감소증이 없는 환자의 사망률인 7.8%에 비해 2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들은 골다공증 치료와 근육의 양과 질을 높여야 한다.    

한국은  2017년에 만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14%를 넘어 고령사회(高齡社會, aged society)에 진입했으며, 2025년에는 20%가 넘는 초고령사회(post-aged society)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고령인들은 건강관리수칙을 준수하여 건강한 100세를 맞이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0

身心건강 목록

身心건강 목록
건강 망치는 나쁜 습관 7 인기글 건강 망치는 나쁜 습관 7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해서 치즈버거 대신 건강에 좋은 샐러드를 더 많이 먹고 매일 헬스클럽에서 30분씩 땀을 흘려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일상생활에서 건강을 해치는 행동을 하지 않는지 살펴봐야 한다. 이와 관련해 '허프포스트'가 빨리 개선해야 할 건강 해치는 습관 7가지를 …(2022-08-15 18:21:09)
소화 불량, 방귀 뿡뿡…식사 요령은? 인기글 소화 불량, 방귀 뿡뿡…식사 요령은? 편의점 음식과 패스트푸드로 식사를 대신하고, 자야할 시간에 야식을 즐기는 사람이 늘면서 소화기 기능성 질환을 앓는 젊은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기능성 소화 불량증, 위식도 역류 질환, 과민성 장 증후군, 만성 변비 등이 많은 사람에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기능성 위장 질환이다. 이런 질…(2022-08-15 17:46:30)
노인의 뇌도 젊어진다 인기글 치매 증세 없이 건강하게 자주 골프를 즐기던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엘지 맥린 할머니.​2007년 102세의 나이로 파3홀(100야드)에서 드라이버로 티샷을 날려 평생 처음 홀인원을 하였다. 이로써 2001년 101세난 할아버지가 세운 정규 골프코스 최고령 홀인원 기록을 깼다. 102세 할머니, 101세 할아버지가 홀인원을 …(2022-08-15 17:24:47)
임플란트, 평생 쓸 수 있을까? 인기글 [명의와의 수다] 임플란트, 평생 쓸 수 있을까? 김성훈 서울대치과병원 임플란트진료센터장이 말하는 임플란트 ABC "치아는 소모품이다." 강한 힘을 받거나 나이가 들면 치아는 금이 가고 깨진다. 치아의 대체품으로 각광받는 임플란트는 다른 어떤 보철물보다 우수해 '제2의 치아'라고 불린다. 현재 우리나…(2022-08-15 17:19:36)
암 발생 1위, 위암의 징후 및 위험요인 10 인기글 암 발생 1위, 위암의 징후 및 위험요인 10 (1) 암 발생 1위, 위암의 징후 및 위험요인 10 위암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위암 발생률이 가장 높은 나라이기도 하다. 위암은 국내 전체 암 발생의 13.6%(2017년 중앙암등록본부)로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암은 일찍만 …(2022-08-15 17:04:31)
위에 좋은 음식 11가지 인기글 위에 좋은 음식 11가지 음식 문화가 발달하면서 식습관이 크게 바뀌었고 최근에는 자극적인 음식이 많아지며, 즐기는 사람들도 많아졌습니다. 사람은 자극적인 음식을 자주 먹으면 속 쓰림, 소화불량, 메스꺼움 등에 시달릴 수가 있는데, 실제로 위와 관련된 질병이 급증하고 있어 우리 국민 10명 중 1,2명은 속 쓰림과 소화 …(2022-07-21 15:15:00)
[열람중]고령인의 건강관리에 대해 인기글 국제연합(UN)이 2015년에 재정립한 인간의 평생연령 기준(age group classification)에 따르면 0-17세 미성년자(minor)에서 18-65세 청년(youth), 66-79세 중년(middle-aged), 80-99세 노년(elderly/senior)을 거친 100세 이상을 장수노인(長壽老人, lon…(2022-07-21 14:56:08)
약 안 먹고 혈당 낮추는 방법 인기글 약 안 먹고 혈당 낮추는 방법 당뇨병 환자가 생활양식을 조금 바꾸기만 해도 약을 안 먹어도 된다면 복음 같은 소식이 될 것이다. 과연 그럴 수 있을까? 미국의 당뇨병 전문의와 영양사들은 ‘예스’라고 대답한다. 이들이 말하는 약 안 먹고 혈당 낮추는 아홉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이 방법은 한국인 당뇨병의 거의 전부를 차지하…(2022-06-10 18:20:21)
고혈압 약 복용 시 알아야할 주의사항 인기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세계 고혈압의 날’을 맞아 고혈압의 치료와 관리를 돕기 위한 고혈압약의 올바른 복용 방법 등 안전한 사용을 위한 정보를 제공했다. 주요 내용은 ▲고혈압약 종류와 부작용 ▲고혈압약의 올바른 복용 방법 ▲고혈압약과 음식의 상호작용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한 생활 습관 등이다. 고혈압이란…(2022-06-10 18:11:10)
약 없이 고혈압 조절에 도움 되는 방법 인기글 약 없이 고혈압 조절에 도움 되는 방법​혈압이 높다는 진단을 받았다면 수치를 낮추기 위해 약을 복용하는 것에 대해 걱정을 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약을 복용해야 한다는 의사의 진단이 있으면 이에 따라야 한다.하지만 약을 먹기 전이라면 생활방식 등을 개선함으로써 혈압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이와 관련해 연구에 의해…(2022-06-10 18:06:40)
위염 다스리기 인기글 한의학에서는 먹고 소화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는 기운을 위기(胃氣)라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위기를 우리 인체의 대사활동에 있어 가장 기초적인 기운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무리 중한 병에 걸렸어도 위기(胃氣)가 보존돼 있다면, 얼마든지 소생할 수 있지만, 반대로 위기가 손상돼 있다면 먼저 이 위기를 회복하는 …(2022-05-28 22:27:22)
뇌졸중(腦卒中) -뇌출혈 ,뇌경색 진단 치료 인기글 뇌의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거나 결국 터져 일어나는 증상. 흔히 “입 돌아간다”고 말하는 질병 중 하나다. "입 돌아간다"고 하는 '구안와사' 증상은 안면마비인데 이는 뇌졸중과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말초성 안면마비 두 종류 모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입이 돌아간다고 해서 무조건 뇌졸중은 아니다. 또…(2022-05-15 23:39:13)
죽상동맥경화증(粥狀動脈硬化症) 이란 ? 인기글 죽상경화증은 오래된 수도관이 녹이 슬고 이물질이 침착하여 지름이 좁아지게 되는 것처럼, 주로 혈관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내막(endothelium)에 콜레스테롤이 침착하고 내피세포의 증식이 일어난 결과 ‘죽종(atheroma)’이 형성되는 혈관질환을 말한다. 죽종 내부는 죽처럼 묽어지고 그 주변 부위는 단단한 섬유성…(2022-05-15 23:16:57)
경동맥 협착증(頸動脈狹窄症)이란 ? 인기글 경동맥 협착증(頸動脈狹窄症)은 경동맥이 좁아지고 딱딱해지는 질환을 의미한다. 경동맥은 심장에서 나온 혈액을 뇌로 보내 뇌가 원활히 기능할 수 있도록 에너지를 공급하는 혈관이다. 뇌로 가는 혈액의 80%를 보내는 중요한 혈관으로 우리나라에서 경동맥 협착증이 있는 성인은 약 5%로 보고된다.​경동맥 협착증은 주로 40대 이후…(2022-05-15 22:48:34)
가정에서의 혈압 관리 인기글 가정에서의 혈압 관리 고혈압이 의심된다 들으시고 외래를 방문하시는 분들이 꾸준히 계신다. 말씀을 나눠보면 보통은 혈압이 높다는것을 알고는 계셨지만 한 번 약을 복용하면 평생을 복용해야 한다고 들어서, 또는 건강검진에서 혈압이 높다고 들어보긴 했지만 식이와 운동으로 조절해 보려는 생각 등으로 적극적인 혈압조절을 하지 않고…(2022-05-15 22:22:19)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4년 龍의 힘찬 기운을 받아 건강부자가 되세요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