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중국이 한국기업의 무덤이 되어가는 리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7-05-02 18:31|

본문

 중국이 한국기업의 무덤이 되어가는 리유 
  2017-05-02  



지난 60여년을 돌아보면 자동차와 정보기술(IT)이 센 나라가 경제가 강한 나라였다. 

1950~70년대 미국, 80년대의 일본, 1990~2000년대의 한국이 그랬다. 

그런데 2010년대 들어서는 세계 최대의 자동차와 IT시장이 중국이다. 

지난해 중국에서는 2800만 대의 자동차가 팔려 2위인 미국의 1750만 대보다 1050만 대나 더 팔렸다. 

중국의 모바일 가입자는 13억2000만 명으로 미국의 3억8000만 명의 3.5배에 달하고 있다. 

작년 중국은 20억5000만 대의 모바일 폰을 만들었다.

지금 자동차와 스마트폰의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한국의 추락이 심각하다. 

한국의 대표적인 자동차회사의 점유율이 2014년 10%대에서 올해 5%대로 추락했다.

1위였던 한국대표 스마트폰 회사의 중국시장 점유율도 5%대로 6위권으로 추락했다. 중국에서 잘나가던 한국기업들이 만리장성에서 길을 잃었다. 

중국이 이젠 한국기업의 시장이 아니라 무덤이 되어가고 있다. 중국에서 한국자동차와 스마트폰의 부진은 외교, 안보 등 문제만 아니라 중국의 변화에 제대로 대응을 못한 때문이다.

중국 3,4선 도시(인구 300~500만 명의 중소도시)의 소비패턴의 변화, 그리고 인터넷과 모바일이 바꾼 중국의 디지털 경제의 위력을 과소평가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2800만 대의 중국 자동차소비 중 SUV차량이 890만 대나 된다.

2억6000만명의 중국 농민공들이 1, 2선 도시에서 돈 벌어 농촌으로 돌아간 것이 아니라 3, 4선 도시로 몰려갔다. 

덕분에 3, 4선도시의 집값이 속등하고 SUV 소비가 급증했다. 

3, 4선도시의 도로 환경상 세단보다 SUV의 선호도가 컸기 때문이다. 또한 정부가 두 자녀 출산을 허용하면서 부모와 2명의 자녀, 그리고 4명의 조부모라는 ‘4+2+2’의 가족구조가 6~7인승 SUV의 수요 급증을 불러왔다.

하지만 한국 자동차회사들은 이런 트렌드를 놓쳤다.

중국에선 뭐든 간에 13억2000만 대의 휴대전화 가입자의 눈높이에 못 맞추면 한방에 훅 간다. 

공유경제의 대명사인 우버가 중국에서 망해서 중국의 디디추싱(滴滴出行)에 지분을 넘기고 물러났다. 

지금 세계 공유경제의 메카는 미국이 아닌 중국이다. 

공유를 기본으로 하는 중국의 공유경제, 디지털경제를 무섭게 봐야 한다.

중국 백화점 등의 오프라인 매장의 매출은 매년 10%이상 줄어드는데도 중국 전체 소비는 10%대의 성장을 유지하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에선 구경만하고 구매는 온라인에서 한다. 

그래서 오프라인 매출은 줄고 있지만 온라인 매출이 30~40%증가한다. 이젠 유통과 온라인을 모르면 더 이상 중국에서 사업하면 안 된다. 

그간 중국에서 잘나갔던 한국의 패션과 유통점들이 줄줄이 문 닫고 철수하고 있다. 전체인구의 43%에 불과한 20~30대들이 온라인 소비의 75%를 차지한다. 중국의 2030들이 중국 소비를 좌우하는데 한국 기업들은 중국 2030들의 온라인소비 패턴을 잘 몰랐다.

한국기업들의 중국시장에서의 부진을  외교 안보문제라 하지만 핑게일 뿐이다.
‘시장을 주고 기술을 얻은’ 중국 기업의 무서운 굴기가 정답이다. 전 세계 모든 제조업에서 중국이 손댔다 하면 짧으면 5년, 길면 10년 안에 모조리 거덜났다.

4차 산업혁명, 한국은 출발부터 늦었다. 

뒷북치며 해봐야 돈만 쓰고 헛고생한다. 디지털·바이오·스마트팩토리 중 한국이 강한 것만 선별해서 집중해야 한다.

할아버지의 반도체를 보는 혜안이 30여 년 만에 오늘의 삼성을 만들었고 손자를 행복하게 만들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한국은 반도체처럼 향후 30년간 먹고 살 신수종산업의 씨를 제대로 뿌려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을 입으로만 떠들고 공약으로만 내세우지 말고 미국과 중국, 독일과 일본이 하지 않는 것, 특히 중국이 못하는 것에 주력해야 성공한다. 


지금 한국은 반도체를 빼고 제조업에서 중국보다 잘하는 것이 거의 없다. 이미 전기차·2차전지·드론 산업의 세계 최대 시장, 최대 생산국은 중국이다.

한국 수출의 3분의 1, 무역흑자의 절반을 중국이 차지한다. 한국 인구의 30배, 영토로는 100배 가까이되는 중국이다. 그런데 중국 본토에서 공부한 진짜 중국통 박사가 단 10명이라도 있는 한국의 연구기관이 한 개라도 있을까? 

중국의 변화를 정확히 읽고 줄 것은 주고 얻을 것을 얻어야 한다. 대중국전략 제대로 짜고 대응해야 한국이 산다. 

저자: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
0

中韓동향 목록

中韓동향 목록
군포시, 중국서 ‘중소기업 해외시장 진출’ 제품설명회 개최 인기글 군포시, 중국서 ‘중소기업 해외시장 진출’ 제품설명회 개최2019.08.02​경기 군포시는 지역 내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판로 개척을 위해 중국에서 직접 제품 설명회를 주관했다고 31일 밝혔다. ​[사진=군포시]​시는 최근 지역 내에서 화장품, 유아교육용품, 생활용품 등을 생산하는 9개사 관계자들과 해외 자매도시인 린이시의…(2019-08-02 17:15:44)
삼성생명, 중국서 '날개 달다' 인기글 삼성생명, 중국서 '날개 달다'중국 합작법인 신계약 늘어 342억원 유상증자2019.08.02 삼성생명이 중국은행과 합작해 세운 법인인 중은삼성인수보험유한공사(중은삼성)이 영업에 날개를 달 전망이다.​2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은 지난 25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중은삼성에 대해 200만위안(342억원) 유상증자를 만장…(2019-08-02 16:24:54)
LG 중국 광저우 OLED 공장 8월 말 준공, 곧바로 양산… 인기글 LG 중국 광저우 OLED 공장 8월 말 준공, 곧바로 양산 돌입LG디스플레이, 3분기안에 라인 가동 OLED TV 업계 생산 코스트 하락 전망2019.07.26 LG가 8월말 중국 광저우(廣州)에 OLED 공장 준공식을 갖고 3분기안에 본격적인 OLED 패널 생산에 나선다. 패널 공급 방식 변경 및 중국 내에서 생산…(2019-07-26 11:22:31)
한-중, 신종감염병 대응협력…실험실 네트워크 구축 인기글 한-중, 신종감염병 대응협력…실험실 네트워크 구축양국 질병관리본부 '질병관리협력 양해각서' 체결신종감염병 예방·대응 양 기관 간 공조체계 구축2019.07.16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16일 중국 질병관리본부 국립…(2019-07-16 15:25:03)
중국 장시성 청소년 교류단, 전남 방문 인기글 중국 장시성 청소년 교류단, 전남 방문2019.07.11​ 전라남도는 장시성 교육청 관계자 및 대학생 30명으로 구성된 중국 장시성 청소년 교류단이 11일부터 8일 일정으로 전남을 방문, 교류활동을 펼친다고 밝혔다.전남도와 장시성 간 청소년 교류는 지난 2009년부터 시작됐다. 지난해까지 16회에 걸쳐 대학생 733명이…(2019-07-11 17:30:55)
경남도, 중국 농식품 신흥시장 공략 나섰다 인기글 경남도, 중국 농식품 신흥시장 공략 나섰다산동성 치박시 홍보판촉행사…5500만원 수익 2019.07.02 경남도는 지난달 27일부터 30일까지 4일간 중국 산동성 치박시에서 농식품 홍보․판촉 행사를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이번 행사는 도내 20개 업체가 생산한 57개 품목을 대상으로 중국 치박시 대형 쇼핑센터인 연화생활광…(2019-07-02 17:09:04)
삼성, 中 3대 통신사 손잡고 ‘5G 무료 업그레이드’ 프로… 인기글 삼성, 中 3대 통신사 손잡고 ‘5G 무료 업그레이드’ 프로모션 진행2019.06.27 삼성전자가 중국 3대 통신사와 협력해 기존 갤럭시 스마트폰을 5G폰으로 무료로 업그레이드해주는 프로모션을 진행한다.25일 펑파이신문(澎湃新闻)에 따르면, 기존 삼성 공식몰에서 갤럭시 S10 시리즈 또는 갤럭시 A80 스마트폰을 …(2019-06-27 13:21:13)
한국은 ‘마라’ 열풍… 중국맥주도 덩달아 인기 인기글 한국은 ‘마라’ 열풍… 중국맥주도 덩달아 인기2019.06.27 ​ 최근 한국에서 ‘마라(麻辣)’ 음식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면서 중국 맥주까지 판매량이 늘고 있다. 24일 중국신문망(中国新闻网)은 한국 일부 언론사의 보도 내용을 인용해 한국에서 중국 맥주 판매량이 급증하면서 수입맥주 시장 판도가 달라지고 있다고 전했…(2019-06-27 13:17:22)
포천시, 중국 자본 끌어들여 '스마트팜 빌리지' 조성계획 인기글 포천시, 중국 자본 끌어들여 '스마트팜 빌리지' 조성계획투자설명회 이어 27일 팜빌리지 조성 위한 업무협약 체결2019.06.27​경기 포천시가 한탄강 일원에 중국 거대자본을 끌어들여 '스마트팜 빌리지'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포천시는 지난 26일 서울 워커힐씨어티홀에서 열린 제6회 한·중 경제협력 …(2019-06-27 13:02:14)
한국의 대외 투자는 급증, 외국인 국내 직접 투자는 감소 추… 인기글 한국의 대외 투자는 급증, 외국인 국내 직접 투자는 감소 추세 2019.06.21​​ ​한중 투자 회복/이미지=차이나미디어DB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갈등 이후 한중 상호 투자는 잠시 감소했다가 작년에 크게 증가해 최근 5년 내 최고치를 경신해 한중 양국 간 상호 투자가 신속하게 회복 및 증가 되었다. …(2019-06-21 14:20:54)
中 국영 주류사 노주노교, 백주 '명냥' 한국으로 첫 해외진… 인기글  노주노교 신제품 '명냥' [사진=노주노교] 중국의 대형 양조 국가기업 ‘노주노교(瀘州老窖)’가 신제품 ‘명냥(茗糧)’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한다. 18일 노주노교는 서울 중구 더플라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노주노교의 해외 진출은 이번이 처음이며 첫 진출 국가로 한국을 선택했다. 노주노교…(2019-06-19 23:22:43)
LG화학, 지리자동차 손잡고 배터리 합작사 세운다 인기글 LG화학, 지리자동차 손잡고 배터리 합작사 세운다2019.06.16 ​LG 화학이 중국 지리 자동차와 함께 전기차 배터리 회사를 세운다.​13일 신랑자동차(新浪汽车)에 따르면, 지리자동차는 12일 99% 지분을 보유한 자회사 상하이 화푸궈룬(上海华普国润)과 LG화학이 동력 배터리와 관련된 응용 연구 개발, 제조, 판매…(2019-06-16 13:30:03)
중국 광둥성, ‘매력적인 중국: 광둥 문화주간’ 행사 서울서… 인기글 중국 광둥성, ‘매력적인 중국: 광둥 문화주간’ 행사 서울서 개최2019.06.11 ​ 중국 광둥(廣東)성 인민정부 신문판공실과 광둥성 문화관광청은 지난 9일 서울 중국문화원에서 ‘매력적인 중국: 광둥 문화주간'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각종 공연과 전시 등을 통해 한국에 중국 링난(嶺南·중국 남부의 5대 산맥 …(2019-06-11 14:44:06)
KEB하나은행, 알리바바와 제휴…중국서 모바일 대출 인기글 KEB하나은행, 알리바바와 제휴…중국서 모바일 대출10억명의 알리페이 고격 겨냥...수익 증대 기대2019.06.11 KEB하나은행의 중국 현지법인인 하나은행 중국유한공사는 중국 내 제1전자상거래기업 알리바바의 '앤트파이낸셜'과 제휴해 디지털 모바일 대출서비스인 '마이지에베이'를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중국하나은…(2019-06-11 14:25:42)
충북도, 중국서 충북관광설명회·수출계약 '성과' 인기글 충북도, 중국서 충북관광설명회·수출계약 '성과'2019.06.11 ​충북도는 대중국 수출시장 확대와 대규모 투자유치를 이끌어내기 위해 이시종 도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도 대표단이 중국을 방문, 성과를 거뒀다고 7일 밝혔다.지난 4일부터 5일까지 1박2일 일정으로 중국을 방문한 도 대표단은 후베이성(湖北省 호북성)과 광둥성…(2019-06-11 14:20:39)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