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수민족- 수족(水族)문화의 계승비번- 水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09-06-15 11:38|본문
"수서(水書)"는 중국 소수민족- 수족(水族)의 특유한 문자로서 세계에서 동파문 외 살아있는 또 하나의 상형문자이다.
수서는 갑골문과 금(金)문에 가까운 고대 문자기호로서 수족 고대 천문, 지리, 종교, 민속, 논리, 철학, 미학, 법학 등 문화정보를 기재하고 있어 상형문자의 "활화석"으로 불리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서"는 한족의 "이경(易經)"과 비슷하며 내용이 풍부하여 수족의 백과전서로 여기고 있다고 말했다.
오늘날까지 주로 수사본과 구두유전본으로 전해진 수서는 유실이 비교적 심각하다. 최근년래 이 문화유물을 보호하기 위해 귀주성 해당 부문의 지도하에 "수서"에 대한 대량의 징집과 구조사업을 전개했으며 현재 이미 6천여권의 소중한 "수서" 원본을 구조했다.
원고 귀족의 "천서(天書)" 수족은 자기 문자를 갖고 있는 17개 민족 중의 하나로서 수서는 지혜로운 수족 선민들이 장기적인 생산생활실천 과정중에서 창조해낸 특유한 문자이다.
수서는 현재에도 수족 민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수족 유구한 역사를 이해하는 중요한 증거, 수족 사회역사문화를 연구, 계승하는 중요한 비번이라 할 수 있다.
수서는 글씨체가 다양하여 처음 보는 사람들은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천서"로 느껴진다. 수서가 반영하는 천상(天象)과 역법자료 등은 매우 귀중한 역사문화유산으로서 특히 수서가 반영한 일부 기본이론 예를 들면 8괘9궁, 음양5행, 60갑자 등은 수족 선민들의 지혜와 예술의 결정체이다.
수서의 문자기호 체계는 매우 독특해 갑골문, 금문과 비슷한 한자가 존재하는가 하면 수많은 상형문자기호와 도형문자도 있다.
수서는 글자수가 적고(수백자밖에 안됨) 문자기호체계가 독특하며 독립적으로 뜻을 표달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 전문가만이 뜻풀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