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전기차 천국, 대륙의 야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7-11-20 11:30|

본문

전기차 천국, 대륙의 야망 

[2017 11-20]


전기차 천국, 대륙의 야망 
中, 세계 전기차 시장 41% 차지

중국이 ‘세계 전기자동차의 메카’로 떠오르고 있다. 차세대 첨단 기술을 선도하려는 야심 찬 포부를 갖고 있는 중국 정부가 전기차에 막대한 자금 을 쏟아부으며 전폭적인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 산시성 시안공장에서 근로자들이 자동차 형틀에서 조립작업을 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 산시성 시안공장에서 근로자들이 자동차 형틀에서 조립작업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디트로이트(GM, 포드)부터 일본 요코하마(닛산)와 한국 서울(현대·기아), 독일 슈투트가르트(벤츠, 포르셰)에 이르기까지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의 자동차 정책 변화를 따라잡기 위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미 뉴욕타임스(NYT) 등이 최근 보도했다. 

중국은 지난 9월 말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신에너지 자동차가 생산과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최소 10%에서 20%까지 단계적으로 올리는 것을 의무화하는 규정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중국 정부는 이 규정을 통해 전기차를 중심으로 하는 신에너지 차량 보급에 매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쑹추링(宋秋玲) 재정부 부사장(副司長)은 “중국 정부는 신에너지 자동차 개발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수립해 왔다”면서 “이 덕분에 지금까지 신에너지 자동차의 개선과 발전이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궈빈(辛國彬) 공업정보화부 부부장도 앞서 지난 7월 톈진(天津)에서 열린 ‘2017 중국 자동차산업 발전 국제포럼’ 개막식 기조연설을 통해 “일부 국가가 전통적인 에너지 자동차의 생산과 판매 중단 시간표를 이미 정했다”면서 “공업정보화부도 관련 연구를 시작했으며 중국의 시간표도 곧 확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네덜란드와 노르웨이는 2025년, 영국과 프랑스는 2040년까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 차량의 생산과 판매를 중단하기로 했다고 공개한 만큼 중국도 이를 따를 가능성이 크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내다봤다.

중국 정부는 이를 위해 조만간 100% 지분을 갖는 해외 전기차 업체의 국내 진출을 허용할 방침이다. 외국 자동차 회사가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면 현지 파트너와 합작 투자사를 설립해야 한다. 

중국은 지금까지 ‘50대50 규정’으로 불리는 합작사 투자 규제를 시행해 왔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테슬라와 상하이시 정부가 상하이 자유무역구에 테슬라가 지분 100%를 갖는 독자 공장을 짓는 방안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중국은 전기차에 대한 규제 완화에 이어 정부 지원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07년 독일 명문 클라우스탈 공과대 포스닥 과정을 마치고 아우디에서 엔지니어로 일했던 완강(萬鋼)을 과학기술부 장관에 임명해 전기차 정책을 진두지휘하도록 했다. 

배터리 산업의 중심지인 톈진 출신인 원자바오(溫家寶) 전 총리는 열렬한 전기차 후원자였고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하이테크산업을 강력히 지원했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역시 전기차 산업 발전을 측면 지원하고 있다.

 쉬차오첸(續超前) 과기부 첨단기술발전산업화 부사장(副司長)은 “신에너지 자동차의 개발은 시 주석과 리 총리의 아낌없는 지원 덕분“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전기차 시장이다. 중국의 지난해 전기차 보급 대수는 전년보다 128%나 급증한 28만대에 이른다. 미국 내 전기차 판매량의 3배, 세계 나머지 국가들의 전체 판매량보다 많다. 

덕분에 중국이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41%로 치솟았다. 4년 전인 2012년에는 6%에 그쳤다. 전기차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배터리와 화석연료를 같이 사용하는 엔진)를 포함하면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50만대를 훌쩍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반면 미국은 2014년까지 세계 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했으나 2015년 이후 25%로 곤두박질쳐 유럽(30%)에도 밀려 3위로 추락했다. 특히 정부가 전기차를 7대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선정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 지원에 힘입어 비야디(BYD) 등 중국 자동차 업체들이 약진하고 있다. 

중국의 올 1~7월 전 세계 전기차 보급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2% 증가한 6.6%에 이른다. 비야디를 비롯해 베이치(北汽·베이징자동차), 장화이(江淮·JAC), 룽웨이(榮威·Roewe), 중타이(衆泰·Zotye), 치루이(奇瑞·Chery), 창안(長安) 등 전기차 업체들이 중국 내에서 판매된 전기차의 43%를 생산해 냈다. 

이 가운데 창안은 2025년까지 화석연료 자동차의 생산을 끝내고 이후에는 전기차만 생산하기로 했다고 WSJ가 전했다. 창안은 150억 달러(약 17조원)를 전기차 개발에 투자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전기차 프로젝트명이 ‘샹그릴라’(낙원)인 이 회사는 2025년까지 21종의 순수 전기차와 12종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만들어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GM은 2023년까지 20종의 전기차 모델 개발 계획을 밝혔고 2026년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연간 100만대를 판매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포드는 중타이자동차에 50억 위안(약 8400억원)을 투자해 전기차 제조 및 판매에 나서기로 했다. 독일 폭스바겐 등은 전기차의 연구개발(R&D), 생산시설을 중국으로 이전하고 있다.

전기차 조립에 필수적인 부품을 만드는 중소기업들도 중국으로 향하고 있다. 결국 이 같은 과정은 성능과 비용 면에서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됐다는 증거다. 

중국 정부는 이들에게 중국 회사와 기술을 공유하도록 종용하고, 세계 최고의 전기차 기술자도 모으고 있다. 이런 만큼 베이징과 상하이, 광둥(廣東)성 선전 같은 대도시에서는 자동차 하면 전기차를 떠올릴 정도로 전기차가 보편화되고 있다.

 치루이 전기차 두 대를 보유한 쑹장화이(宋江懷) 변호사는 “휘발유 자동차를 살 계획은 없다. 장차 판매가 금지될 것이라는 소식을 들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초기 구매가격이 더 비싸긴 하지만 유지비용이 휘발유 자동차의 5분의1 수준인 전기차가 마음에 든다”며 “미래는 전기차가 좌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내 도시들이 점점 집중화되고 광범위한 고속철도망 때문에 주행거리가 짧아지고 있다는 점도 전기차의 매력을 배가시킨다. 장거리 도로 여행을 할 필요가 그만큼 없어지는 까닭이다.

 베이징에서 주식투자자로 활동하는 한타오(韓濤)는 베이징에서 선전까지 운행하는 동안 배터리가 방전되는 바람에 비야디 E6 전기 세단이 견인되는 사고를 겪었지만 휘발유차보다 E6이 더 좋다고 밝혔다. 

그는 “기름 냄새와 엔진 소음이 없어서 좋다. 휘발유차보다 빨리 가속할 수 있어 마음에 든다”면서 “마치 고속열차에 탄 느낌”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이 글로벌 자동차 시장을 쥐락펴락하지만 전기차 등 자동차 제조에 대한 능력은 미비하다는 게 NYT의 지적이다. 세계 무대를 제패한 중국 자동차가 사실상 없는 탓이다. 

중국 내부에서도 대부분의 소비자는 포드와 쉐보레, 폭스바겐 등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와 중국 회사의 합작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한 데다 인기 전기차도 테슬라의 매끄러운 외장보다는 저렴하고 투박해 보이는 박스카 형태가 대부분이다. 

물론 중국 정부가 가진 ‘전기차는 사치가 아닌 실용적인 것’이라는 가치가 반영된 까닭도 있지만 중국이 앞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라는 점도 NYT는 강조했다.

중국이 단순히 전기차에만 매달릴 것이 아니라 석탄 발전에 의존하고 있는 에너지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중국 전력의 4분의3은 석유보다 환경에 치명적인 석탄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전기차가 늘어날 때마다 더 많은 양의 석탄을 태워야 하는 탓도 있다. 

0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경제동향 목록
헤드라인 독자가 결정, 글로벌 뉴스앱 프론티어 '진르터우탸오… 인기글 헤드라인 독자가 결정, 글로벌 뉴스앱 프론티어 '진르터우탸오' 편집자 따로 없어, AI 엔진이 사용자니즈 분석 정보 추천 제휴언론 3700개 유저 7억명 기업가치 24조원,광고만 1조3천억원CEO 장이밍 '검색사이트에서 일하다 사업 아이디어 얻어' [2017-11-27] 베이징에 사는 직장인 A씨는 매일 아침 뉴스앱 ‘진…(2017-11-27 14:15:16)
중국, “앱으로 주문한 배달음식, 라면업계 위협한다” 인기글 중국, “앱으로 주문한 배달음식, 라면업계 위협한다”온라인 배달 앱 등장 후 라면 수요 줄어...저렴한 인건비, 높은 보급률로 배달 선호[2017-11-23]전 세계 라면 수요량이 부단히 증가하고 있는 국내와 달리 최근 중국에서는 배달 앱(app) 서비스를 통한 배달 음식이 라면을 대체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중국 언론 매일경제신문(每日经济新闻)는 21일 보도에서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전으로 한국은 이미 배달의민족, 요기요, 배달통 …(2017-11-23 17:13:19)
시진핑신시대 2018년 중국 10대 유망기술 (상) 인기글 시진핑신시대 2018년 중국 10대 유망기술 (상) 블록 체인,엣지컴퓨팅,5G,VR, 생체인식 유망 [2017-11-23] 글로벌 유력 컨설팅 업체 트렌드포스(集邦咨詢)가 최근 중국 시장 및 산업 트렌드를 기초로 다가오는 2018년 가장 핫한 분야로 떠오를 10대 유망 기술(산업)을 선정해 소개했다. 이 컨설팅사가 선정한 유망 기술에는 중국의 블록체인, 5G, 엣지 컴퓨팅, 가상현실 등 4차혁명 관련 기술이 망라돼 있다.앞서 시진핑 국가주석은 지난 10월 19차 당대회에서 ‘신시대’를 맞아 4차…(2017-11-23 16:50:28)
중국 배터리 강자 CATL 상장, 비야디 넘는 글로벌 챔피언… 인기글 중국 배터리 강자 CATL 상장, 비야디 넘는 글로벌 챔피언 등장 중국시장서 BYD 제치고 시장 1위 기록이번 IPO로 기업가치 1500억위안 평가 [2017-11-23] 중국의 배터리 공룡업체 CATL(寧德時代)이 상장 계획을 발표하면서 비야디(BYD)와 쌍벽을 이루는 ‘글로벌 챔피언급’ 우량주식이 탄생할 전망이다. C…(2017-11-23 16:32:41)
[열람중]전기차 천국, 대륙의 야망 인기글 전기차 천국, 대륙의 야망 [2017 11-20]전기차 천국, 대륙의 야망 中, 세계 전기차 시장 41% 차지중국이 ‘세계 전기자동차의 메카’로 떠오르고 있다. 차세대 첨단 기술을 선도하려는 야심 찬 포부를 갖고 있는 중국 정부가 전기차에 막대한 자금 을 쏟아부으며 전폭적인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2017-11-20 11:30:42)
[중국법] 한국에서 무혐의, 중국에선 형사 처벌? 인기글 [중국법] 한국에서 무혐의, 중국에선 형사 처벌?[2017-11-20]외국인의 형사 처벌Q 한국인 A는 한국에서 중국인 B를 상대로 저지른 범죄행위에 대하여 무혐의처분을 받았습니다. 그 후 A는 중국에 입국하였는데, 같은 범죄행위로 형사 처벌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럴 수가 있나요?A 예, 이러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A가 한국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더라도 중국의 형법에 의하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이와 달리 한국에서 형사처벌을 받았다면 이는 중국에서 형의 임의적 감면 사유에 불과합…(2017-11-20 11:01:22)
자율주행차 상용화 쌩쌩 (상) 인기글 자율주행차 상용화 쌩쌩 (상)바이두, 자율 주행차 호출 서비스 출시 지리車, 플라잉카 개발기업 인수 [2017-11-20] 1997년 개봉된 뤼크 베송 감독의 영화 '제5원소'에는 하늘을 나는 택시가 등장한다. 이 영화는 2259년 초현대적인 23세기 뉴욕을 풍부한 상상력으로 그려내 화제가 됐다. 가까운 미래 초능력자들의…(2017-11-20 10:36:59)
10개월 반도체 수입액 250조, 중국 반도체 국산화 잰걸음 인기글 10개월 반도체 수입액 250조, 중국 반도체 국산화 잰걸음디스플레이 성공 경험에 고무, 중국산 반도체 대규모 투자 전략 [2017-11-16] 세계 최대 반도체 수요국인 중국이 반도체 국산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2020년까지 국내 반도체 공급량의 40%를 국산화할 방침이다. 2025년까지 반도체 국산화 비율을 70%까…(2017-11-16 16:19:02)
축구 이어 골프도 한국 위협, 중국 최초 세계 1위 골프영웅… 인기글 축구 이어 골프도 한국 위협, 중국 최초 세계 1위 골프영웅 펑산산'평범한 집 딸' 집념으로 신데렐라골프영웅 탄생에 네티즌도 환호[2017-11-16] 중국 골프선수 펑산산(馮珊珊, 28)이 13일 박성현(24)을 제치고 중국인 최초로 여자골프 세계 1위에 오르면서 대륙이 열광하고 있다. 중국 언론들은 펑산산의 1위 비결…(2017-11-16 16:00:59)
마화텅을 만든 인터넷 대전 5인의 '제갈량' 인기글 마화텅을 만든 인터넷 대전 5인의 '제갈량'뛰어난 예지력으로 마회장 도와 텐센트 제국 건설 공동창립자, 위챗 개발자, 초창기 투자금 지원장샤오룽, 장즈둥, 류츠핑, 쉬천예, 리쩌카이[2017-11-16] 어릴 적부터 컴퓨터를 좋아했다는 마화텅은 1998년 27세의 나이에 텐센트를 설립한다. 그로부터 약 20년의 세월이 …(2017-11-16 15:44:59)
2018년 중국 소매시장 바꿀 '무인편의점' 5대 톱브랜드 인기글 2018년 중국 소매시장 바꿀 '무인편의점' 5대 톱브랜드알리바바 징둥 비롯 대규모 자본 투자 쇄도빙고박스 등 중국 무인편의점 열풍 주도 [2017-11-16] 2016년 12월 미국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무인매장 아마존고(AmozonGo)를 선보인 이후, 전세계적으로 '무인 유통 열풍'이 일어났다. 특히 무인편의점은 중국에서 거액의 투자를 잇달아 유치하며 그야말로 폭발적 성장기를 맞았다. 실제 중국에서 무인편의점 열풍이 일어난지 1여년간 알리바바(阿裏巴巴), 징둥(京東) 등 중국 대표 전자상…(2017-11-16 15:18:41)
알리바바 기적같은 28조원 매출, 광군제 일등공신은 첨단기술 인기글 알리바바 기적같은 28조원 매출, 광군제 일등공신은 첨단기술 접객서비스 배송에 첨단 IT기술 적용 배너 광고 AI 디자이너에 '의뢰'해 제작 [2017-11-13] 광군제(光棍節 싱글데이) 쇼핑축제가 펼쳐진 지난 11일 알리바바 마윈 회장은 “광군제 쇼핑축제의 관건은 기술력 업그레이드로 고객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이라고 …(2017-11-13 16:04:26)
취업 선배에게 듣는 중국 취업 이야기 인기글 취업 선배에게 듣는 중국 취업 이야기[2017-11-13]- 중국 기업 취업 후 언어 적응이 가장 어려워 -- 중국 기업 발전 가능성 무궁무진, 도전할 만한 가치 있어 -KOTRA 광저우 무역관은 광저우 현지에서 취업해 근무하고 있는 취업 선배 4명과 중국 현지 취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A씨는 중국 무역회사에서 고객소통, 출입고 등 전반적인 생산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입사 2년차이다. B씨는 전자회사인 G사에서 제품의 생산 및 출하계획 등의 생산관리와 고객사 커뮤니케이션 등을 담당하고 있다.…(2017-11-13 15:53:13)
중국 취업- 현지 IT기업 취업하기 인기글 중국 취업- 현지 IT기업 취업하기[2017-11-13]- NHN 중국법인 인터뷰 -IT 기업 취업 선호도 증가최근 국내의 한 취업 포털에서 대학생 대상으로 취업 선호기업을 조사했다. 지난 상반기와 비교했을 때 카카오,네이버, 엔씨소프트 등 IT 관련 기업의 선호도가 높아진 점이 눈에 띈다. 4차 산업혁명과 맞물려 IT와 일반산업의 융합 확산에 따라 IT 기업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최근 IT 기업 취업에 관심이 있는 구직자가 늘고 있다.넓어진 취업 기회우수한 기술력과 경쟁력을 보유한 국내 IT 기업…(2017-11-13 15:42:43)
'사드한파 물러갔다' 한류회복 팡파레, 세기의 온라인쇼핑데이… 인기글 '사드한파 물러갔다' 한류회복 팡파레, 세기의 온라인쇼핑데이 광군제 사드 봉합에 한국도 마케팅 효과 톡톡 IT 신기술 접목, 신소매 신유통 르네상스알리바바 징둥닷컴 각각 28조, 21조원 판매[2017-11-13] ‘중국판 블랙 프라이데이’ 광군제(光棍節 싱글데이) 행사가 올해도 사상 최고의 매출을 이어가며 성황리에 종료됐다. 알리바바는 이번 행사에서 1682억위안(약 28조3000억원)의 매출을 올려 지난해 기록인 1207억위안(약 20조원)을 넘어섰다. 올해는 특히 모바일 구매가 90%이상에 …(2017-11-13 14:41:02)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