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훠궈(火鍋)로 본 중국 중국인 중국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7-12-28 14:30|

본문

훠궈(火鍋)로 본 중국 중국인 중국사회
전통과 변화 조화의 요리
4대 요리 장점 모두 갖춰

[2017-12-28]

중국요리는 왜 이렇게 발달했을까? 역사적 요인으로 보자면, 한(漢)대 이후 2000여 년 간 지속된 봉건적 지배구조가 고급 요리의 영역을 안정적으로 전승‧발전시켜온 동시에 잦은 전란과 재해로 반복된 수천년간의 굶주림이 먹는 방식에 대한 계발‧확장을 유도했다고 볼 수 있다. 

음식남녀(飮食男女:禮記)는 역사적으로 ‘먹을 것(행위)’에 대한 욕망(부족함)과 쾌락(넘침)을 솔직하게 긍정적으로 인정했던 전통에 대한 표현이다.  

이런 관성이 ‘인간은 자연의 일부(天人合一)’이니 다양한 식재료를 조화롭게 먹어야 양생(養生)이 된다는 인식과 결합되면서, 중국인들은 무엇이든 다 먹는다는 프레임을 형성하게 만들었다. 

정치의 핵심은 백성들의 먹는 문제 해결이라고 말하는 민이식위천(民以食爲天:史記)은 유사 이래 근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인에게 ‘먹는 문제 해결’이 늘 중요한 과제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마오쩌둥에게도 제1과제(頭等大事)였고, 덩샤오핑도 개혁개방 정책의 3보 중 제1보를 ‘굶을 걱정 없는 사회(溫飽)’로 내디뎠다. 캘리포니아대학의 장치쥔(張起鈞) 교수는 “어떤 의미에서는 서방문화(특히 근대의 미국식 문화)를 ‘성(sexual)문화’라고 본다면, 그와 대비되는 중국의 문화는 일종의 ‘음식(food)문화’라고 말할 수 있다”고 정리한다. 

이 주장에 비추어 보면, 중국을 이해하는 소스코드로 중국요리를 대상으로 삼아도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개인적으로 훠궈(火鍋)는 가장 중국적이면서 오늘날 중국요리의 모습을 보여주는 대표적 요리라고 생각한다. 덤으로 중국을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도 얻는다. 

중국요리가 추구하는 요리 가치의 실현, 요식업계에서 보여주는 중국식 적응력, 중국적 사회적 관계 맺기에 대한 이해를 훠궈로 살펴보려 한다. 

원래 '훠궈'는 우리의 전골처럼 식탁에서 직접 가열해 가면서 먹는 냄비 형태의 ‘조리용 식기’를 말한다. 1920년대 무렵 쓰촨 일대에서 이 ‘훠궈’ 용기를 활용한 요리가 유행하면서 본래의 ‘조리용 냄비’라는 뜻이 전의돼 조리방식 또는 ‘요리 자체’를 의미하게 됐다. 

우리의 ‘뚝배기’와 같은 원리이다. 국물 없이 재료를 졸여 먹는 ‘찌개 형태’의 방식과 탕을 용매로 사용해 데쳐 먹는 조리방식으로 나눈다. 

전자의 대표적인 요리가 광둥(廣東)지역의 ‘다비옌루(打邊爐)’, 후자가 바로 우리가 흔히 먹는 샤브샤브 형태의 요리다. 쏸양러우(涮羊肉)는 일종의 ‘베이징식 훠궈’로 볼 수 있다.  

훠궈는 17세기 중엽 청나라 황실연회 메뉴에 들어가면서 전통요리의 한 구성원이 됐다. 훠궈의 기원에 대해 지구인들은 할 말이 많다. 불의 발견 이후 식재료를 ‘탕’류로 익혀먹는 방법은 어느 문명권에나 존재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중국인들은 훈고학의 선수들답게 출토 유물로 보자면 동한(東漢: 기원 2세기) 무렵, 문헌기록으로 보자면 남북조(南北朝: 기원 3세기) 시기에 이미 훠궈의 기미를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오늘날의 요리 형태로 자리를 잡아 실물로 등장하게 된 것은 북송(北宋)~원(元)나라 무렵이니, 늦어도 13세기 중엽 무렵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보는 게 맞다.

 물론 한국 삼국시대의 토렴에서부터, 오늘날 유럽의 ‘퐁듀’까지 넓게 보자면 데쳐 먹는 방식의 조리법은 인류의 공동 유산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중국인들은 전통적으로 요리의 가치를 평가할 때 색(色), 향(香), 미(味), 기(器), 형(形) 등 5가지 요소 간의 밸런스를 본다. 세 가지는 맛, 두 가지는 모양과 관련이 있다.

 중국요리협회의 강령에 “중국요리는 맛을 핵심으로, 영양을 그 목적으로 한다”고 밝히고 있듯이, 중국요리는 ‘맛’이 핵심이다. 그래서 중국 요리사들은 스시나 스테이크를 요리로 보지 않는다.

 중국어로 요리를 ‘팽조(烹調)’라 하는데 스시는 ‘팽(익힘)’이, 스테이크는 ‘조(맛내기)’가 부족해서다. 

그래서 믿기 힘들겠지만, 중국요리의 모든 레시피에는 반드시 중국식 인공조미료인 ‘계정(鷄精)’이 들어간다. 물론 맛의 기준은 상대적이며, 현대 건강과 웰빙의 기조에서 중국도 자유롭지는 않다. 

훠궈는 식재료와 탕의 종류, 소스와 탕의 맛, 식기와 용기의 변화로 전통가치를 잃지 않고 살아남기 위해 끊임없이 변해 왔다. 중국 요리사들의 가장 큰 고민도 전통요리에 어떻게 새로운 변화를 줄 것인가에 있다. 

이런 고민에 답을 주고 훠궈가 중국 요식업의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을 수 있게 길을 열어준 것은 태극문양의 식기로 매운 맛의 홍탕과 담백한 맛의 청탕을 동시에 담아낸 ‘원앙훠궈(鴛鴦火鍋)’이다. 

이 원앙훠궈는 1983년 개최된 제1회 전국요리경연대회에 ‘쌍미훠궈(雙味火鍋)’라는 이름으로 출품돼 호평을 받았고, 1985년 무렵에 상품화됐다. ‘맛’에 대한 기호 선택의 발상 전환과 ‘음양(陰陽)’ 철학의 메시지 덕에 오늘날 훠궈육수의 기본 구성으로 자리 잡게 됐다. 

이후 양고기 중심에서 쇠고기나 버섯 등으로의 메인 재료 확장, ‘탄위터우’, ‘샤오페이양’ 등이 시도한 탕 육수의 다양화를 거쳐, 2017년 현재 훠궈의 트렌드는 ‘차별화’이다. 

대표적 사례로 2016년 중국 내 요식업 매출 4위, 훠궈전문 업체로는 1위를 차치한 ‘하이디라오(海底撈)’ 식당을 들 수 있다.

‘훠궈무림’에 혜성처럼 등장한 하이디라오의 차별화 전략은 퍼포먼스와 서비스였다. 요리 자체는 흔히 말하는 상향평준화된 상황에서 차별화된 콘텐츠를 개발해 2008년 이후 줄곧 중국 요식업 100대 기업에 들었다. 

주문을 하면 제면사가 면을 뽑는 과정을 직접 식탁에 와서 보여준다. 현란한 동작은 마치 공연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대기 손님들에게는 간식과 과일, 음료, 잡지가 무료로 제공되고 네일아트에 구두까지 닦아준다. 

자체 직영 식재료 재배 기지를 운영하며 친환경적인 요리와 고객의 건강에도 신경 쓴다는 어필도 한다. 웰빙과 힐링을 촌스럽지 않은 방식으로 구현했던 게 주효했다. 중국인들에게 식사는 중요한 엔터테인먼트인 것이다. 

두 번째로는 요식업계 변화에 적응하는 뛰어난 가변성을 들 수 있다. 2016년 중국 요식업 매출 상위 20개 기업 중 정확히 절반인 10개 기업이 ‘훠궈’를 주 메뉴로 하는 프랜차이즈 업체다. 

재미있는 것은 서양식 패스트푸드 업체가 전체 영업매출에서 상당 부분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훠궈가 중국요리 전통의 맥을 선양(宣揚)하며 대표선수로서 싸우고 있다는 점이다. 

시장경제 진입 이후 단 한 번도 영업매출 1위를 놓친 적이 없는 바이성(百胜)그룹, 2016년 매출 2위를 달리고 있는 톈진딩챠오(天津顶巧)그룹도 서양식 패스트푸드를 다루는 기업이다. 

영업매출을 밝히지 않아 기업 순위를 알기는 어려우나, 업계에서는 2~3위 정도로 보고 있는 맥도날드 그룹까지 포함하면 중국 요식업 매출 1~3위를 모두 정크푸드라 일컫는 패스트푸드 기업이 차지하고 있다. 

요리문명국 자존심에 큰 상처가 되는 아이러니이다. 전국을 커버할 수 있는 가맹점포 수, 원활한 식재료의 유통과 공급, 동일한 수준의 맛을 유지해야 하는 현대 프랜차이즈식 경영방식에서 ‘메시’급 선수인 ‘훠궈’만이 적응하고 있다. 

세 번째로는 중국의 사회적 관계 맺기 메커니즘에 가장 어울리는 요리라는 점이다. 중국인들의 ‘관시(關係)’를 도형으로 표현하자면 ‘원(圓)’이다. 

명절과 기념일에 가족과 지인들이 둥근 식탁에 모여 회포를 푸는 ‘투안위안(團圓)’이라는 민속적 행위에 훠궈의 식사 방식이 정확하게 부합한다. 우리네 찌개처럼 한 용기에서 젓가락을 부딪혀 가며 정을 나누고, 이어령 교수의 표현대로 ‘침을 통한 교류’로 함께 먹는다. 

넉넉하게 푸짐하게 대접해야 한다는 중국 전통 접객 원칙도 충족한다. 심지어 호스트와 게스트가 ‘조리(데침)’ 과정에 참여해 함께 만든다. 

두께만 조절된다면 거의 모든 식재료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은 육해공 출신의 요리를 시차를 갖고 순차적으로 내어 하나의 코스로 함께 떠먹는 방식인 중국 전통의 ‘시계열형’ 식사법을 만족시킨다.

‘훠궈’는 가장 중국적인 요리다. 중국문화가 그렇듯, 성질이 다른 식재료를 탕 안으로 모아 화(和)하여 새롭게 화(化)시킨다. 

인테리어, 서비스, 식기, 식재료 및 조미료의 변화를 통해 중체서용(中體西用)의 정신으로 살벌한 요식업계에서 버티고 있다.

중국인들의 생활철학인 ‘흥(热鬧)’을 내기에도 좋다. 중국 4대 요리의 장점도 모두 담고 있다. 

매운 맛 중심의 소스로 요리를 관장하는 쓰촨요리의 가변성을 바탕으로, 해산물 위주의 식재료 그 자체로 지배하는 광둥요리, ‘탕’을 얼마나 잘 우려내느냐의 조리 전통을 중시하는 산둥요리, 조리법과 모양을 중시하고 코스요리로서의 구성적 완성도에 목을 매는 화이양요리의 특징을 다 반영하고 있다. 

이로써 중국의 전통가치를 지키고 있다는 위안도 준다. 중국에서는 비즈니스적 관계 맺기의 장소로 광둥요리식당을 활용하는 것이 관례다. 

혹시 중국 지인과 ‘훠궈’집을 가게 돼도 서로 서운하거나 어색하지 않을 관계가 되었다면, 당신은 이미 중국통이 된 것으로 보아도 좋다.
이상오(충북대학교 중국학연구소 연구교수) 
  

0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경제동향 목록
2018년 달라지는 税법 인기글 2018년 달라지는 税법 [2018-01-02] 세법은 한 나라의 재정뿐만 아니라 회사나 개인의 ‘돈주머니’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신화통신은 2018년 경제개혁과 더불어 세제개편도 발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 우리의 일상생활과도 연관이 되는 세제의 변화에 대해 보도했다. 환경보호세(环保税) -환경오염물 배출 기업 대상 새해부터 ‘중화인민공화국 환경보호세법(中华人民共和国环境保&#…(2018-01-02 16:01:04)
‘元旦’의 유래와 전설 인기글 ‘元旦’의 유래와 전설 [2018-01-02] 중국에서의 ‘원(元)’은 ‘처음(首)’을, ‘단(旦)’은 ‘날(日)’을 의미한다. 즉 ‘원단(元旦)’은 ‘첫날’을 뜻한다.중국은 양력 1월1일은 ‘원단(元旦)’, 음력 1월1일은 ‘춘절(春节)’로 정립한다.‘元旦’의 기원 4000여 년 전 ‘삼황오제(三皇五帝)’의 한 명인 ‘전욱(颛顼)’으로부터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진서(晋书)’에 “颛帝以孟夏正月为元,其…(2018-01-02 15:57:03)
새해 시행되는 중국 法 인기글 새해 시행되는 중국 法 [2018-01-02] 상하이저널 환경보호세법 ‘중화인민공화국 환경보호세법’이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 앞으로 중국과 중국 관할 기타 해역에서 환경 오염물질을 직접 배출하는 기업체와 기타 생산자는 환경보호세를 납부해야 한다. 환경보호세의 징수 대상 오염물로는 대기오염물질, 수질오염물질, 고체 폐기물, 소음 등 4종류가 포함된다. 수질오염방지법 ‘하장제(河长制)’ 관련 내용을 추가한 ‘수질오염 방지법’ 개정이 통과돼 내년…(2018-01-02 15:52:31)
내년 中 부동산 전망…전반적인 하향세, 정부 규제 여전 인기글 내년 中 부동산 전망…전반적인 하향세, 정부 규제 여전[2017-12-28 ] 내년 부동산 가격 ‘가장 안정된 해’ 될 것정부 규제 정책 ‘여전’, 집 장만 문턱 더 높아진다2017년 한 해가 가고 새해가 다가오면서 중국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업계 전문가들이 내년 당국의 부동산 규제 정책이 완화될 가능성이 매우 적다는 전망을 내놓았다.28일 북경청년망(北京青年报)은 중국지수연구원(指数研究院), 리엔지아(໦…(2017-12-28 15:01:38)
2018년부터 중국 상아관련제품 가공 및 판매 중단 인기글 2018년부터 중국 상아관련제품 가공 및 판매 중단[ 2017 12-28]2018년부터 중국 상아관련제품 상업성 가공 및 판매 중단 중국정부는 상아 등 야생동식물 불법 거래 근절 차원에서 올해 12월 31일 전까지 상아 및 관련 제품의 상업성 가공 판매를 단계적으로 중단시키기로 했다고 발표했다.국가임업국 통계…(2017-12-28 14:54:37)
브랜드 강국 중국, 상표등록도 세계 1위 인기글 브랜드 강국 중국, 상표등록도 세계 1위2017년 전세계 신규 상표등록의 80%는 중국 브랜드[2017-12-28] 중국이 2017년 전세계 신규 상표등록의 80%를 차지하면서, 16년 연속 세계 1위 브랜드 강국으로서 입지를 굳혀나가고 있다. 2017 세계 TOP 100 브랜드에는 궁상은행(工商銀行) 중궈이둥(中國移動)…(2017-12-28 14:40:54)
플라스틱신분증 사망선고? 디지털 중국 이젠 신분증도 SNS … 인기글 플라스틱신분증 사망선고? 디지털 중국 이젠 신분증도 SNS 위챗으로 발급 디지털 신분증으로 실명인증 영업등록 법원업무도 안면인식 기술 활용, 초고속 초정밀 본인인증 실현 [2017-12-28] 첨단 디지털 시대를 맞아 무현금·무인 유통 시대로 성큼 들어선 중국이 이번에는 '디지털 신분증'으로 새로운 사회 변화를 시도하고 …(2017-12-28 14:35:52)
[열람중]훠궈(火鍋)로 본 중국 중국인 중국사회 인기글 훠궈(火鍋)로 본 중국 중국인 중국사회전통과 변화 조화의 요리4대 요리 장점 모두 갖춰[2017-12-28] 중국요리는 왜 이렇게 발달했을까? 역사적 요인으로 보자면, 한(漢)대 이후 2000여 년 간 지속된 봉건적 지배구조가 고급 요리의 영역을 안정적으로 전승‧발전시켜온 동시에 잦은 전란과 재해로 반복된 수천년간의 굶주림이 먹는 방식에 대한 계발‧확장을 유도했다고 볼 수 있다. 음식남녀(飮食男女:禮記)는 역사적으로 ‘먹을 것(행위)’에 대한 욕망(부족함)과 쾌락(넘침)을 솔…(2017-12-28 14:30:05)
中 내년 부동산정책 ‘수요별 만족, 지원, 통제’로 차별화 인기글 中 내년 부동산정책 ‘수요별 만족, 지원, 통제’로 차별화[2017-12-25] 중국의 내년 부동산 정책은 ‘첫 주택 수요 만족’, ‘개선형 수요 지원’, ‘투기성 수요 억제’의 차별화된 통제정책을 펼칠 방침이다.신화사(新华社)는 23일 열린 전국 주택 도시건설회의에서 왕멍후이(王蒙徽) 주택건설…(2017-12-25 15:21:07)
한중 겸임 근무자의 개인소득세 인기글 한중 겸임 근무자의 개인소득세[2017-12-25] [중국법 이럴땐 이렇게]Q 한국(이사직)과 중국(수석대표직)에서 직무를 겸임하는 분이 중국에는 출장형태로 한 달에 2,3일 정도 오시는데, 이런 경우 그분의 납부세액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A 대표처의 수석대표직에 계시는 분들은 주로 출장형태로 오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중국 내 주소가 없는 사람의 임금, 급여소득에 대한 과세문제를 어떻게 확정하느냐 그리고 어떻게 계산 하느냐를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183일 미만 거주자: (당…(2017-12-25 15:15:41)
[중국법] 중국인 남편과 결혼, 둘째 낳으면 사회부양비 내나… 인기글 중국인 남편과 결혼, 둘째 낳으면 사회부양비 내나요?[2017-12-25] [중국법 이럴땐 이렇게]중국의 산아제한 정책Q 저는 한국인이고 제 남편은 중국인입니다. 얼마 전 제가 아기를 가졌는데 한국에 있는 친구로부터 중국에서는 자녀가 1명을 넘는 경우 사회부양비라는 벌금을 내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제 남편과 전 부인 사이에는 이미 아이가 한 명 있습니다. 그렇다면 제가 아기를 낳을 경우 사회부양비를 내야 하나요?A 둘째 아이를 출산하더라도 사회부양비를 납부할 필요가 없습니다. 친구분께서 알고…(2017-12-25 15:14:08)
중국 경제는 “빅 데이터의 혁명” 인기글 중국 경제는 “빅 데이터의 혁명” [2017 12-25 ]중국 경제 “빅 데이터 혁명” 이라 불린다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중국은 이미 글로벌 리더이지만 산업 디지털화 측면에서 보면 여전히 중국은 미국에 뒤처져 있다.하지만 중국에서도 현재 걷잡을 수 없는 거센 산업 디지털화가 몰아치고 있다.글로벌 최대 …(2017-12-25 14:53:51)
중국인의 정치·철학·이념 '민의와 민심'에 집중 인기글 중국인의 정치·철학·이념 '민의와 민심'에 집중[2017 12-25]중국인의 정치·철학·이념 '민의와 민심'에 집중"민의는 일반 여론, 민심은 인심의 향방" 지금까지 풀이했던 1당 집권, 신형 민주 집중제, 기대와 수요의 창조, 발전관리 등 4가지 화두는 모두 중국인의 정치, 철학, 이념이 포함되어 있다…(2017-12-25 14:51:02)
中 재정부, 1월 1일 부터 일부 수출입 품목 관세 조정 인기글 中 재정부, 1월 1일 부터 일부 수출입 품목 관세 조정[2017-12-21] 중국 재정부는 12월 1일 일부 소비품에 대한 수입관세 인하를 발표한데 이어, 1월 1일 부터 일부 수출입 품목에 대한 관세를 조정할 예정이라고 12월 15일 공시했다고 중국재경보가 19일 보도했다.재정부의 공시에 따르면, -…(2017-12-21 15:41:28)
中, 내년부터 차량 취득세 10%로 인상 인기글 中, 내년부터 차량 취득세 10%로 인상[2017-12-21] 내년부터 중국에서 차량 구매 시 더 많은 돈이 나가게 된다. 중국 정부가 내년 1월 1일부터 배기량 1.6L 이하 엔진 자동차에 대한 취득세를 기존 세율인 7.5%에서 10%로 인상할 방침이라고 펑파이신문(澎拜新闻)이 17일 전했다. 신차 구매 시 취득세는 신차 가격(세금 포함) ÷ 1.17(증치세율 17%) × 취득세율로 계산된다. 이에 따라 1.6L 이하 차량의 취득세율이 10%로 인상될 경우 9만 위안 차량은 1923…(2017-12-21 15:36:47)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