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인이 중국을 바라보는 7가지 착각 (5)
착각 5 : 꽌씨와 돈이면 만사가 다 통한다?
중국 비즈니스 만만하게 보지 마라
중국에 진출하는 한국인들 사이에는 중국 비즈니스를 두고 마치 속담처럼 자주 회자되는 말이 있다. “중국에서는 되는 일도 없고 안 되는 일도 없다.”, “그 까짓 것 하다 문제 생기면 돈 주고 관계(꽌씨)로 해결하면 되지”가 바로 그것이다.
이 역시 한국 사람들이 중국에 대해 가지고 있는 착각이다. 이 말들에는 결국 중국 비즈니스를 너무 만만하고 쉽게 여기고 있는 한국인들의 …(2009-03-23 14:02:52)
|
|
한국인이 중국을 바라보는 7가지 착각 (4)
착각 4 : 중국에서 대박 한 번 터트려 봐?
중국은 쏟아지는 노다지다?
중국에 대한 착각의 또 다른 한 가지는 중국에 진출하기만 하면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대다수의 한국인들이 중국으로 진출하면서 초반부터 화려하게 데뷔하기를 꿈꾼다. 수십 억, 수 백 억을 투자하여 무엇이든 한번 대박을 터트려보겠다는 욕망에 휩싸여 있다.
그런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외국에서 차관을 들여 오겠다는 등, 대형 아파트 단지를 건설하겠다는 등, 석유와 광산을 개발하여 수출해보겠다는 …(2009-03-23 14:01:05)
|
|
한국인이 중국을 바라보는 7가지 착각 (3)
한국인이 중국을 바라보는 7가지 착각 (3)
착각3 : “그까짓 중국어 좀 못한다고 성공 못하나!”
중국어, 중국 비즈니스의 기본
한국인이 중국과 각종 여러 가지 사업을 진행하면서 가지고 있는 착각 중 하나는 언어에 관한 부분이다. 중국에 진출하는 한국의 사업가들은 대부분 ‘중국어 좀 못한다고 일이 안 되나! 조선족 통역 쓰면 되지’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사업 아이템은 최고이고, 또 자신은 한국에서 그 일을 오랫동안 해온 전문가라고 생각하며 언어의 중요성을 간과한…(2009-03-18 15:20:02)
|
|
한국인이 중국을 바라보는 7가지 착각 (2)
한국인이 중국을 바라보는 7가지 착각 (2)
착각 2. 중국인, 더럽고 지저분하고 미개하다?
겉모양을 보지 말고 속에 있는 알맹이를 봐라
한국 사람들은 중국 사람들을 대하면서 그들을 외모로만 쉽게 판단하고 선을 그어버리는 나쁜 습관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보통 한국 사람들이 중국인들을 대할 때 공통적으로 “중국 놈들 목욕도 안 하나! 어휴 더럽고 지저분해, 휴~땀냄새”, “머리는 몇 주에 한 번씩 감나! 머리에 제비집 좀 봐”, “신호등 지키지 않고 머리 먼저 내민 놈이 우선이…(2009-03-18 15:18:24)
|
|
한국인이 중국을 바라보는 7가지 착각 (1)
한국인이 중국을 바라보는 7가지 착각 (1)
착각1. ‘중국 공산당 빨갱이 놈들’, ‘부패하고 돈 밖에 모르는 놈들’
냉전시대의 잔재
한국 사람들이 중국인들을 바라보는 잘못된 시선 증 대표적인 것이 중국 공산당을 ‘뿔 달린 빨갱이’라고 치부하는 것이다. 대개 한국인들은 ‘중국 공산당’이라고 하면 6.25 동란을 떠올리고 북한군, 즉 공산당, 빨갱이를 연상한다.
사실 6.25를 겪은 세대는 철저히 공산당과 그들의 행패를 목도한 세대이다. 그들은 자신의 눈앞에서 소위 ‘빨갱…(2009-03-18 15:16:20)
|
|
워 아이 쭝궈’(我愛中國, 사랑해요 중국)
워 아이 쭝궈’(我愛中國, 사랑해요 중국) 중국에서의 사업을 위해 진출하는데 무슨 ‘사랑하라’, ‘존중하라’, ‘품으라’ 라는 단어가 중요한가 의아할 수도 있다. 중국과 인연을 맺은 지 14년 째, 그동안 지켜본 바로 중국에서 성공한 사람들의 습관 첫 번째는 단연 ‘사랑해요 중국!’이다.
중국인들이 잘 쓰지 않는 단어가 있다면 ‘사랑, '섬김, ‘봉사’라는 말이다. 중국인들은 이런 표현을 매우 어색해 한다. 그러나 몸소 이를 중국 실천하면 여기에는 엄청난 성공의 폭발력이 있다. 추상적…(2009-03-18 14:32:47)
|
|
1. 중국을 사랑하라, 중국 사람을 존중하라, 중국을 품으라
중국에서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1)
1. 중국을 사랑하라, 중국 사람을 존중하라, 중국을 품으라 !
요즘 나오는 서적 가운데 ‘섬김의 리더십(Servant Leadership)’과 관련된 책들이 CEO사이에 새로운 인기를 끌고 있다. 섬기는 리더십은 오로지 헌신적이고 양심적인 마음의 발로에 의해서만 행동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다른 리더십 이론들처럼 실천을 요구하고 있는 실천적 리더십이다. 섬김의 리더십은 곧 마음의 리더십이다. 다른 사람들에게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2009-03-12 17:07:55)
|
|
중국에서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1)
중국에서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1)
2. 반드시 相生(‘Win-Win’) 하라
중국시장에서의 ‘미국 기업의 성공과 일본 기업의 실패’라는 기사가 <중국공상기업관리신문>에 보도된 적이 있다. 이 내용을 삼성경제연구소 최순화 연구원이 정리하여 보고했는데 중국 진출에 있어 좋은 교훈이 되는 내용이라 생각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시장에서 자리를 잡은 미국 기업과 그렇지 못한 일본 기업의 차이는 각 기업들이 표방하는 진출 목적에 대한 용어를 봐도 드러난다고 한다.…(2009-03-12 17:01:50)
|
|
정도로 시작하여 정의로 끝을 맺어라
정도로 시작하여 정의로 끝을 맺어라 (1)
목적과 아이템의 正道
중국에는 ‘군자는 재물을 좋아해도 이익을 구하는 데 도리가 있어야 한다’, ‘인(仁, 어진마음)에서 이(利,이익)를 구하는 것이 진짜 군자이고, 의(義, 정의)에서 재물을 구하는 사람은 대장부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상인들도 올바른 의리관을 가져야 하며 불의한 재물은 단호하게 거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다. 바로 이것이 바로 중국 상도의 기본 정신이다.
사업의 목적이 정의로운 것이어야 한다. 사업의 …(2009-03-12 16:59:45)
|
|
목숨보다 소중한 중국의 미옌즈(面子)
중국인은 왜 미옌즈(面子, 체면)를 중요시 하는가? 중국인은 미옌즈를 개인의 존엄과 영예로 여기는데 심지어 가산을 팽개쳐 가면서도 미옌즈를 잃어서는 안된다고 여기고 있다.
유방과 항우가 패권을 쟁탈할 때 초패왕이 오강(烏江) 강변에서 8천 군사를 잃고 “무슨 면목이 있어어 강동 부모 형제들을 만나 뵌단 말인가” 하면서 강을 건너면 살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을 건너 이름 없이 살려하지 않았다. 송조때 시인 리칭자오(李靑照)가 (生当作人杰,死亦为鬼雄。至今思…(2009-03-12 16:43:42)
|
|
중국 비즈니스, 식탁에서 승부하라
文史哲로 풀어낸 중국의 음식문화
“중국인과의 대화는 비즈니스건 우정이건 음식으로 시작해서 음식으로 무르익고 음식으로 마무리된다.” 중국인과 비즈니스 관계를 맺어본 사람이라면 대부분 수긍할 이러한 결론을 보충하기 위해, 장구한 역사와 방대한 철학에 기초해 탄탄한 문장력으로 중국 요리를 분석한 책이 6년째 스테디셀러의 자리를 지키고 있어 눈길을 끈다. 한국무역협회에 재직하며 1980년대 말부터 지금까지 중국 전역을 다녀 본 고광석 전무이사(59)가 펴낸 ‘중화요리에 담긴 중국‘(사진)이 그…(2009-03-12 16:40:55)
|
|
중국인의 만만디(천천히)를 바로 알기
천천히 가는 것은 두렵지 않다.
중국인의 특성으로 종종 '만만디(慢慢的)'가 거론된다. 어느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국어사전을 검색해보니 "[중국어] 행동이 굼뜨거나 일의 진척이 느림을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흔히들 '만만디'를 이렇게 '느리다'와 결부시켜 이야기하지만 나는 '묵직하다'로 해석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본다.
중국인과 협상을 할 때는 그들보다 더 묵직해야 이익을 볼 수 있다. 어느 중국인 사장은 한국인의 사업 스타일에 대해 "당신들은 뭐가 그리 급한…(2009-03-12 16:38:47)
|
|
[열람중]중국의 입법체계
입법(立法)이란 법규의 제정과 개정 및 폐지를 의미한다. 한국과 달리 중국은 입법법(立法法)이라는 ‘법을 만드는 법’을 가지고 있는데 그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중국의 행정체계와 감독체계를 이해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법규는 헌법을 정점으로 하여 법률(국회에서 제정)과 시행령(행정부의 국무회의에서 제정) 및 시행규칙(행정부의 각 부문에서 제정)의 단일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최고입법기구는 국회가 된다.
중국의 법규체계는 법률(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제정)과 행정법규(전국인민대표대…(2009-03-12 16:37:37)
|
|
중국 소무역상은 어찌해야 하는가?
중국사업의 미래... 소무역상은 어찌해야 하는가?
열심히 오늘도 중국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시고 중국에 대한 희망을 키워가시는 회원님들의앞날에 도움이 되고자 하여 이글 드립니다.
1부 (중국 소무역 사업자의 중국 알아가기) 한국인으로써 중국에 뜻을 두신 분들이 오늘도 중국시장을 노크하고 있다 먼저 한국에서 막연히 중국을 알때는 중국을 무시하고... 낙후 되었다.... 제품의 질이 형편없다....어떤 물건이 조금 흠이 있어도 이것 중국산이라 이런가?.... 등등 같은 한국인으로…(2009-03-12 16:31:04)
|
|
중국에서 법적 지위를 가지려면?
중국에서 법적 지위를 가지려면?
국제법과 법 실무상 사용되는 법적 지위의 중요한 원칙으로는 첫째로 국민대우의 원칙(평등의 원칙)이 있다. 이는 한 국가 영토 안의 외국인과 본국인은 동일한 권리의무를 가진다는 원칙으로 신체에 관한 권리, 재산권, 상속권, 혼인권, 노동권, 교육권, 소송권 등 본국인과 평등한 권리의무를 가진다. 이러한 원칙은 19세기 초 프랑스 민법전에 규정되어 지금 모든 국가나 국제 조약에는 호혜의 원칙하에 실행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국민대우의 원칙은 확장ㆍ발전 되어 외…(2009-03-12 16:2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