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한국기업`중국 진출 안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09-03-30 13:40|

본문

중국은 아직 미지의 시장이다.
현지에서 5년이상 살아온 전문가들도 장님 코끼리 만지듯 중국 투자론을 펼치곤 한다.
생산활동의 기초수단인 토지가 국가소유인가 하면 노사관계 등 사적 계약에 정부가 광범위하게 관여한다.
국가가 개발전략상 필요하다면 경제 기본권은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기 일쑤다.

한국에선 사법적 판단에 맡겨져야 할 분쟁들이 행정권의 재량에 맡겨지는 것도 허다하다.
인적 네크워크(꽌시·關係)에도 신경써야 한다.
이런 탓에 중국시장에 야심차게 진출한 한국기업들은 법 제도 관행이란 진입장벽을 넘지 못하고 수없이 분루를 삼켰다.

상하이(上海)의 로펌인 한중통상법률지원센터(한국측 대표 이규철 李揆哲, 전화 86-43-220-6183)와 베이징(北京) 국연컨설팅(〃 김덕현 金德賢, 〃 86-10-6468-0411,2)의 도움을 받아 대표적인 한중 분쟁사례를 살펴본다.

▽명의 차용
 
99년 11월 해상운송업체인 A사는 중국인 W씨의 이름을 빌려 상하이에 회사를 차렸다.
W씨는 사무실에 책상을 들여놓더니 나중에 동생을 입사시키고 임금인상까지 요구했다.
A사는 회사를 옮기려 했으나 W는 “내가 법정대표”라고 우겼다.
컴퓨터 등 모든 사무실 기자재에 손대지 못하게 했고 심지어 “이 회사 탓에 내 일을 못했다”며 손해배상까지 청구했다. A사의 낭패는 익명(匿名)투자 탓. 외국기업 투자를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업종에 투자할 경우 종종 벌어지는 사례다.
회사를 세우면 반드시 자기 이름으로 중국공상행정관리국에 가서 등기를 마쳐야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

이규철 대표는 “이름을 빌리더라도 최소한 중국인이 한국기업의 자금을 빌려 기업을 세웠다는 금전소비대차 계약 정도는 맺어둬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적법한 투자계약 대상
 
식품회사인 B사는 올 2월 장쑤(江蘇)성의 한 진(鎭)정부와 맺을 뻔했던 토지사용권 임대계약만 생각하면 등골이 오싹해진다.
공장을 세울 5만8754㎡의 토지를 빌려주겠다고 나선 진정부가 적법한 상대가 아니었기 때문.
토지규모로 볼 때 시정부와 맺어야 할 계약이었지만 외자유치에 눈이 먼 진정부는 보증서와 승낙서 등을 제시하며 막무가내로 매달렸다.
 
다행히 시정부가 진정부가 맺은 토지사용료 수준에 불만을 품고 계약무효를 주장하면 꼼짝없이 당한다는 것을 뒤늦게 알고 계약을 포기했다.
 
토지사용권 계약을 적법하게 했더라도 토지가 국가·지방정부의 재개발 계획에 포함됐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92년 베이징 번화가인 왕푸징(王府井)에 개업한 맥도널드 햄버거는 시 상업재개발구역에 속해있었다.
임대기간이 20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베이징시는 나중에 이전을 요구했다.

▽민사소송
 
2000년 12월 일본 C사는 중국 D공사와 맺은 기술공여계약에 의해 엔지니어를 중국에 보냈다.
그러나 엔지니어의 월급을 중국 합작사가 제대로 주지않아 기술지도가 중단됐다.
 
중국측은 일본측에 계약대로 기술지도를 지속할 것과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이 과정에서 중국측 직원들의 감정이 격해져 엔지니어를 사원숙소에 연금시키는 불상사가 빚어졌다.
인민법원이 엔지니어의 일본여권을 압수한 것은 소송이 제기된지 2,3일 뒤.
 
민사사건이 종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국할 수 없다는 ‘ 외국인 입출국관리법’ 규정 때문이었다.
엔지니어는 가까스로 일본대사관과 연락이 닿아 한달 뒤 귀국할 수 있었다.

▽도난시 피해보상
 
베이징에서 단독 출자회사를 세운 P사장은 어느날 공장 주차장에 세워둔 승합차를 도난당했다.
경찰에 신고하고 2달여동안 탐문한 끝에 범인을 잡았지만 승합차는 찾을 길이 없었다.
 
중국 변호사와 상의한 P사장은 범죄로 입은 재산상 손해를 형사소송중 요구하는 ‘형사부대 민사소송’이란 제도가 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았다

.한국의 배상명령신청제도와 비슷한 제도. 김병문(金炳文)변호사는 “형사부대 민사소송은 피해액을 입증해야 하며 그만큼만 배상받는 것 ”이라고 지적했다.

▽관세 연체
 
중국에서 무역회사를 경영하는 L사장은 자금회전에 문제가 생겨 세관에 내야 할 관세를 연체하고 말았다.
몇 달뒤 세관이 회사명의 은행계좌를 뒤져 밀린 세금을 강제로 빼간 것을 알고 깜짝 놀랐다.
 
한국에서는 정부의 강제집행도 법원의 공매절차를 밟아야 하는데 중국은 그렇지 않았던 것.
L사장은 인민법원에 행정소송을 냈지만 법원은 접수를 거절했다.
 
L사장은 중국 상업은행법에 ‘세관은 반드시 납부해야 할 관세를 거부할 경우 공문을 제시하고 관련 은행계좌에서 강제징수할 수 있다’고 정해놓은 것을 뒤늦게 알았다.

▽수표 부도
 
중국에서 판매법인을 관리하는 P이사는 물품구매 대금으로 거래처로부터 받은 수표가 예금잔액을 초과해 부도난 사실을 알고 중국 경제범죄수사단에 형사고소했다.
 
한국의 부정수표단속법을 생각한 것.
그러나 수사단은 “형사범죄가 구성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예금잔액을 초과해 수표를 발행했더라도 행정법규에 의한 행정처벌이나 혹은 변제책임을 다하지 않는 민사책임만을 추궁할 수 있다는 설명이었다.
P이사는 할 수 없이 대금청구 민사소송을 내야만 했다.

▽반덤핑 제소
 
지난해 11월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 뒤 한국 대기업에 대한 반덤핑 제소건이 빈번해졌다.
태평양 법무법인의 경우 지난해 4건의 반덤핑제소 사건을 처리했으나 올해엔 벌써 4건이나 접수했다.
 
태평양법무법인 김종길(金鍾吉)변호사는 “주로 한국산 유화제품이 반덤핑 혐의를 받고 있다”며 “향후 미국보다 중국과의 통상분쟁에 더욱 신경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 조언▼
한중 수교 10년만에 중국에 사는 한국인은 30만명으로 늘었다.
당나라 때 신라방이 1000년 뒤 개방시대를 맞아 만주 벌판에서 남쪽 하이난(海南)섬까지 중국 전역에 생겨나고
있는 셈이다.
 
동포들이 느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한국인의 중국관(觀)은 위험하기 그지없다.
일부 사례를 전부로 해석하거나 개방초기 선입견을 20여년 동안 바꾸지 않는 맹목적인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중국인에게 사기당하지 않았나요?’
 
한국인에게 흔히 듣는, 말문이 막히는 질문이다.
사기당했다기 보다 실패했거나 사기를 자초했다는 표현이 어울릴 때가 더 많다.
 
실패를 경험한 한국기업들은 앞뒤 안가리고 ‘저지르고 보는’ 유형이고 실패한 개인사업자들은 중국의 법치주의를 부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중국기업과의 계약서를 보면서 놀랄 때가 적지 않았다.
세밀한 내용을 적을 만큼 치사하지 않다’는 호방함을 과시하거나 자신의 힘을 과신해 맺은 것들이다.
 
중국측과 합자(合資)계약을 맺은 뒤 중도금을 내고도 마지막 자본금을 내지못해 중도금을 모두 포기해야 하는
말도 안되는 계약서에 그냥 사인하곤 한다.

‘중국은 법치국이 아니라 인치국’이라는 말은 잘못됐다.
분쟁이 생기면 이들은 항상 계약서를 따른다.
 
계약서는 곧 양날의 칼이다.
지난해 거의 모든 중국 안팎의 벤처캐피털들이 경기악화로 죽을 쒔다.
그러나 미국의 IDG벤처캐피털은 9개 투자사업을 털어내면서 3000만달러 를 벌었다.
 
1992년 척박한 중국 자본시장에 발을 디딘 뒤 무려 7년동안 현지에서 임직원을 교육시키고 시장조사와 연구활동등으로 ‘ 내공’을 쌓은 덕택이었다.
 
반면 한국기업들은 한번에 몇 천달러씩 접대비로 쓰면서도 몇 백달러의 자료조사비 자문료는 아까워한다.
다행스럽게도 긴 안목으로 투자해온 일부 한국기업들이 이제 풍성한 과실을 거두기 시작했다.
 
그러나 대부분은 지난 10년을 허송하며 중국측의 무성의와 불운을 탓하고 있다.
뿌리깊게 내려앉아 끈기있게 기다려야 열리는 곳이 바로 중국시장이다
0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에서 해야 할 50가지와 하지말아야 할 50가지 인기글 중국에서 해야 할 50 여기는 중국1.중국을 배우고 연구하자2.중국어를 배우자3.중국문화를 이해하자4.중국 전문가가 되자5.법대로 하자6.선배들에게서 배우자7.중국인을 존중하자8.중국인의 지혜를 본받자9.사람들과 관계를 잘 맺자10.정보를 수집하여 활용하자11.먼저 얻은 정보는 남들과 공유하자 태도와 마음가짐12.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자13.엄격하자14.크게 생각하자15.겸손하자16.신사적으로 행동하자17.중국의 아픈 곳을 재중국 한국사회 명의로 많이 돕자 우리는 한국인18.한국인끼리 서…(2009-03-30 14:19:44)
중국사업장에서의 직원관리 인기글 중국이 개방전에의 교포사회와 개방후의 교포사회를 냉정하게 비교해보시면 그래도 중국에서 한국사람이 잘될수록 교포도 중국인들한테 대우를 받고있다는사실은 교포 여러분이 잘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교포 여러분도 교포중에서 일부 몰지각하고 생각없이 한국인에게 욕하는교포가 있다면 미래를위해서 그리고 한국인과 교포자신들을 위해서도 가차없는 채찍을해주셨으면합니다. 이렇게 하는것이야 말로 진정 넓은대륙에서 한민족이 우뚝서서 중국인도 무시 못하게 되는것입니다. 중국 사업에서의 직원관리하는방법…(2009-03-30 14:19:08)
중국, 식당 설립절차 인기글 아래와 같은 합법적인 절차를 거쳐 중국내에서 외국인의 식당을 허가 받아야 하나이와 같은 과정은 중국인이라 할지라도 복잡하고 쉽지않은 과정입니다.따라서 외국인이 이러한 절차를 직접 처리한다는것은 상당히 어려운과정이므로중국내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대행법인을 통하여 처리하는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입니다.아래는 절차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알수 있도록 한 세부내용입니다.一、과정二、구체절차 및 서류1.명칭예비심사비준등기 절차(북경 시 공상국)1)《명칭(변경)예비심사비준신청서》기입,동시에 관련 …(2009-03-30 14:16:45)
중국서 사업할 때 알아야 할 문화 차이 인기글 외국을 방문했을 때 겪게 된 문화적 차이로 당황한 적이 한두 번은 있을 것이다. 관광차 들렀다면 그런대로 넘어갈 수 있지만 비즈니스 목적이라면 거래나 협상이 깨질 수도 있다.외국으로 출장 가기 전 그 나라의 문화적 특성에 대해 미리 알고 가면 여행은 순조로울 것이다.미국의 경제 격주간지 포천 인터넷판은 출장이든 관광이든 중국에서 외국인들이 맞닥뜨릴지 모를 몇몇 문화적 차이에 대해 최근 소개했다.◆'나'보다 '우리'=서양은 개인이 '넘버 원'이지만 중국에서는 집단이 우선한다. 유엔·인텔·캐터필러 같…(2009-03-30 14:15:26)
중화인민공화국보험법 인기글 (1995년6월30일 제8기전국인민대표대회상무위원회제14차회의 통과 2002년10월28일 제9기전국인민대표대회상무위원회 제30차회의 ≪<중화인민공화국보험법>수정에 관한 규정≫에 의해 수정)   제1장 총 칙    제1조 보험활동의 규범화, 보험활동 당사자의 합법적 권익 보호, 보험업에 대한 감독관리 강화, 보험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본 법을 제정한다.   제2조 본 법에서 지칭하는 보험은 보험가입자가 보험 약정에 의거하여 보험회사에 보험금을 지불하고 보험회사…(2009-03-30 14:14:20)
중국의 거류허가제도 안내 인기글 1. 중국정부는 2004년말부터 종전의 외국인 거류증 발급제도를 대신하여 외국인의 여권상에 거류허가 스티커를 부착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거류증 발급 및 소지에 따른 불편함이 사라지는 반면에, 동반가족들에게는 가족관계 증명자료를 제출할 것으로 새로이 요구하고 있으니 거류허가를 신청하시는 경우에 미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2. 중국정부의 새로운 제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북경시 공안국의『거류허가신청』자료(비공식 번역본)를 별첨과 같이 게재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만…(2009-03-30 14:00:35)
중국의 이혼제도 인기글 중국의 이혼제도 1. 혼인의 소멸 혼인의 소멸이라 함은 부부관계가 일정한 법률사실로 인하여 소멸되는 것을 말한다. 혼인의 소멸원인은 두 가지가 있다. (1) 부부 일방의 사망에 의한 소멸 : 부부가 자연적으로 사망하면 혼인관계는 자연히 소멸된다. 부부 일방의 사망이 선고 되면 혼인도 소멸된다. 배우자 일방이 자기의 주소를 떠나 생사불명이 되면 이해관계자의 신청에 따라 인민법원은 사실의 인정에 근거하여 사망을 선고할 수 있다. (2) 당사자의 이혼으로 인한 혼인소멸…(2009-03-30 13:57:01)
중국의 결혼제도 인기글 혼인성립의 요건 혼인이 유효하게 성립되기 위해서는 혼인법이 규정하는 요건을 갖추어야 하는데, 실질적 요건과 형식적 요건으로 나눌 수 있다. (1) 혼인의 실질적 성립요건(혼인요건) (가) 남녀 쌍방이 자원적인 혼인의사와 합의가 있어야 한다. 혼인법 제4조는"혼인은 남녀쌍방의 완전한 자원에 의한 것이어야 하며 다른 사람의 강박 혹은 제3자의 간섭도 받지 아니한다" 고 규정하고 있다. 남녀 쌍방의 자원이란 ㄱ. 남…(2009-03-30 13:52:36)
중국 최고상인은 누구인가? 인기글 [중국 거상에게 배우는 부(富)의 전략]춘추시대 진(晉)나라에 계연(計然)이라는 상인이 있었다. 그는 장사를 해 큰돈을 벌었고 그가 만든 상업이론 '적저지리(積著之理, 재산을 모으는 이치)'는 천하에 이름을 날렸다. 오나라에 패하고 와신상담하던 월왕 구천이 그를 찾아 나라경제를 살릴 비법을 물었을 정도였다. 구천의 책사인 범려 역시 계연의 가르침을 받아 후에 큰 부자가 되었다고 한다. 진나라는 바로 지금의 산시성(山西省)이며, 계연은 산시상인 '진상(晉商)'의 시초다. 중…(2009-03-30 13:51:52)
중국 상부(商父)가 든 보험은 인기글 장쩌민 전 국가주석의 모교는 상하이 쟈오통(交通)대학이다.(여기서 ‘交通’은 소통 또는 교류(communication)라는 의미. 交通大學은 현재 상하이, 베이징, 시안, 청두, 그리고 대만의 신주(新竹) 등 5개소에 소재하는 데 모두 명문으로 손꼽히는 이공계 위주의 종합대학들이다.) 이 대학의 창시자는 성선회(盛宣懷 1844-1916)라는 인물이다. 근대 중국의 상성(商聖)이라 불러지는 호설암(胡雪岩)의 무릎을 꿇게 만든 사람이다.   손문이 근대 중국의 국부(國父)로 추앙받듯, 성선회는 근대 …(2009-03-30 13:48:18)
중국 한족은 왜 붉은색을 좋아 하는가. 인기글 중국 한족은 왜 붉은색을 좋아 하는가. 중국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은 ‘오성홍기’, 천안문광장 등 중국의 상징물을 떠올리게 된다. 그러나 만약 중국을 다녀왔던 세심한 사람이라면 ‘중국사람들이 붉은색을 아주 좋아한다’ 는 느낌을 받았을 것이다. 중화민족은 예로부터 황색을 고귀하고 신성한 권위의 상징으로 여겨왔다. 아울러 붉은색을 상서로움과 경사로움의 상징으로 여긴다. 이를 테면 순결하고 선량한 효자를 <적자(赤子)>라고 부르고 여성들의 화려한 화장을 홍장(紅裝)이…(2009-03-30 13:41:59)
[열람중]한국기업`중국 진출 안내 인기글 중국은 아직 미지의 시장이다. 현지에서 5년이상 살아온 전문가들도 장님 코끼리 만지듯 중국 투자론을 펼치곤 한다. 생산활동의 기초수단인 토지가 국가소유인가 하면 노사관계 등 사적 계약에 정부가 광범위하게 관여한다. 국가가 개발전략상 필요하다면 경제 기본권은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기 일쑤다. 한국에선 사법적 판단에 맡겨져야 할 분쟁들이 행정권의 재량에 맡겨지는 것도 허다하다. 인적 네크워크(꽌시·關係)에도 신경써야 한다. 이런 탓에 중국시장에 야심차게 진출한 한국기업들…(2009-03-30 13:40:15)
중국시장에서의 한국기업의 마켓팅 및 홍보전략 인기글 Ⅰ. 서언 중국시장에서의 한국기업의 마켓팅 및 홍보전략을 논함에 있어 이론적인 면에 추가하여 중국에 투자한 외자기업과 중국 국유기업의 사례를 첨가하고 일부 문헌상의 자료도 참고하였다. 그러나 제한된 지면에 맞추려고 노력하다보니 사례 및 참고자료를 압축, 정리할 수밖에 없어 내용상 자세한 설명이 결여된 점에 대해 미리 독자들의 양해를 구하는 바이다. Ⅱ. 한국기업의 마켓팅 전략 1. 중국시장에서의 마켓팅 활동의 현지화 전략 마켓팅의 주요 대상은 제품 소비자이다. 중국에서의 소비자는 중국인…(2009-03-30 13:39:08)
중국 비자 보는 법 인기글 중국 비자 종류1. 관광비자(L)2. 상용비자(F)3. 취업비자(Z)4. 학생비자(X)5. 별지비자6. 단체비자7. 도착비자 중국 비자는 지정 여행사를 통한 접수 외에는 개인 접수가 불가능하므로 가까운 여행사에 문의하시면 편하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발급하는 중국비자 1.비자번호2.비자종류3.입국횟수 중국 비자는 비자별로 입국횟수가 미리 정해져 있습니다.01(壹) - 중국에 입국하는 순간 비자 효력은 남아 있지만, 재입국을 못하는 일회용.02(贰) …(2009-03-30 13:29:35)
중국 미인의 10대 조건 인기글 ■ 옥지소완(玉指素?). 옥지는 옥처럼 아름다운 손가락을 말하고 소완은 흰 피부의 팔을 말한다. 옥같이 아름다운 손가락은 또 가늘어야 한다. 그래서 섬섬옥수라는 말이 나왔다. 섬은 가늘다의 뜻이다. 즉 곱고 가는 여인의 손을 말한다. 이처럼 중국 사람들은 옛날부터 옥지소환을 매우 중시했다. 그러다보니 관상에도 손을 중시했다. 수상이 그것이다. 중국 사람들의 속담에 '열손가락에 일생의 길흉이 있고 백년의 영화가 달려있다. 십지위일생교졸지소관 백세영고지소계(十指爲一生巧拙之所關 百歲榮枯之…(2009-03-30 13:25:08)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