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중국인, 거실에서 신발벗지 않는 이유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09-03-30 16:58|

본문

누구나  문화가 다르기 때문인지 알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그 문화가 달라도 그 다른 문화는 어디에서 기인했는지 궁금하지 않을수 없지 않는가 ?
 
중국인 친구의  집에 가거나, 또는 중국인을 한국으로 초청에서 호텔에 들어갈때나 식사를 하러 갈때  가장 그들과 엇 박자가 생기는게 신발을 벗냐 안 벗냐이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이 답을 3가지로 답을 압축하자면
 
첫째, 거실문화 즉 주거 생활문화가 다르다.
둘째, 건축방식이 다르다.
셋째, 건강을 지키기 위함이다.
 
거실문화를 보면 한국은 온돌인 반면 중국은 침대와 좌식문화가 다른 점입니다. 이 한 가지 문화만 놓고 보더라도 한국인들은 방에 들어갈때 신 발을 벗지 않으면 안 되게 되어있고 중국은 신발을 벗지 않아도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한국과 중국의 아파트 외부 모습이 별차이 없어 내부 또한 비슷하리라 생각했는데 수 년전 중국친구 초대로 드디어 아파트 내부를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참 편리했다. 그대로 신발신고 방이든 거실이든 부억이든 들어가면 된다. 화장실가서도 그대로 사용하고 나온뒤 손싯고 나올때 물이 튕겨 바닦에 떨어지면 봉자루 걸레로 한 번 쓰으윽 닦아주고 나오면 된다. 어찌된 영문인지 화장실 바닦이 슬럼프(물 구배)가 안 되있고, 물 배출구도 없다. 바닦으로 떨어진 물은 모두 봉걸레로 다 닦아내야 한다.
 
건축방식이 다르다. 아파트의 많은 보급으로 다 그렇다고 할 수 없지만 중국의 북방계 사람들(동북3성, 천진과 북경을 포함한 화북지역)은 옛 부터 우리와 같은 온돌문화로 생활하는 곳이 대부분이다.
 
우리와 약간 다른 것이 있다면 한국은 거실이 전체 온돌로 되어있는 반면 중국은 침대처럼 온돌을 만들어 그 곳만 따뜻하게 한다.
 
중국식 발음은 炕(캉) 또는 火炕(훠캉)이라고 하며 "온돌","방구들"로 표현하다. 위에서도 말 했듯 북방지역인 중국의 농촌지역을 가면 현재도 아주 흔하게 이런 전형적인 집들을 볼 수 있다.  바닥은 일반 돌이나 타일 또는 콘크리트와 벽돌 등으로 마감되어 있으며 그들의 문화처럼 신발은 여전히 신고 있다.
 
또한 신발을 신을 수 밖에 없는 것이 겨울이든 여름이든 바닥은 여전히 랭랭하다. 찬것을 유난히 싫어하는 중국인들 ! 40도가 넘는 찜통같은 더위에도 차(茶)를 마실때는 뜨거운 물에 마시는데, 몸에 직접적인 찬기운이 닿도록 내버려 둘까 ?
 
이왕 말이 나왔으니 炕(캉)에 대한 역사적 지식을 알고 넘어가자!
炕(캉)의 유래를 살펴보면 BC 1000여 년 전 서주(西周)사람들은 차가운 돌바닥위에 건초, 나무껍질, 짐승가죽등을 깔고 생활을 했다고 한다.  당시 군주인 무왕(武王)역시 이런 차가운 돌바닥위에서 자다보니 온 몸이 저리고 때론 마비증세가 생기게 했답니다. 그래서 많은 대신들이 그 해결책을 찾고자 했지만 아무도 찾지 못했다고 합니다.
 
그러던 어느날 무왕 동생인 주공(周公)이 길을 가다가 어느 한 늙은 농부가 흙으로 만든 아궁이에 불을 지피고 있는 것을 보았담니다. 이를 괴상히 여긴 주공은 노인에게 물어보니 노인은 예전에 신경통이 있어 여러가지 방법을 강구하던중 돌바닥 밑에 불을 때워서 그 돌위에 잠을 잤더니 그 신경통이 말끔이 치유되었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로 순식간에 소문이 확산되 조금조금 발전해온것이 현재 중국에서 쓰고 있는 온돌 문화입니다.
 
즉 이렇듯 불을 이용한 온돌문화의 유형은 비슷하지만 우리나라와 다소 다른 모습을 찾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신발을 벗고 생활하느냐 하지 않느냐의 차이점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건축의 난방방식에서 우리와 다른 점은 한국은 습식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중국은 대륙방식(공기순환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우리나라는 양발을 벗고 온돌에 몸을 달굴때 기 온화함을 느끼지만, 중국은 발의 따뜻한 기온을 빼끼지 않기 위해서 항상 신을 신고 있어야만 하는 차이가 있다.
 
세번째의 이유는 한국이나 중국이나 매우  전통적으로  발(足)이 얼마나 건강의 진단을 빨리 가늠할수 있는 곳 임을 부인하지 않는다.  그 예로 발 마싸지이다.  모든 혈과 오장육보의 기관이 발 바닦에 집중되어 있고 발 바닥 하나로 그 사람이 건강이 어디가 이상이 있는지 알수 있다.
 
그래서 중국사람은 족(足)부를 각별히 생각한다. 마싸지 받을 때도 족부와 전신부를 별개로 취급하며 가격또한 족부가 더 비싸고 시간도 더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발의 건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대표적인 예이다.
 
중국텔레비젼의 其實,父母是孩子的最好老師(사실, 아이의 최고의 선생님은 부모님이다)라는 광고중 그 곳에서 며느라가 시어머니 발을 싯겨주는 장면이 나온다. 초등학교도 들어가기전이 꼬맹이가 그런 광경을 보고, 어느날 일하고 들어오는 어머니의 고단함을 덜어들리이 위해 그 어머니가 했듯이 그 꼬맹이가 효를 하기 위해 세수대야에 물을 들고 오면서 "엄마 제가 발 싯겨드릴게요"라는 구절과 함께 그의 어머니의 양입가에 따뜻한 미소로 광고는 끝난다.
 
이런 광고의 효과는 잃어가는 중국 젊은이에게 웃어른의 공경과 효의실천이 무엇인가를 내포하고 있지만, 그 광고마져 하필이면 족부를 대상으로 했겠는가?.
 
사실, 발은 우리인간의 신체부분에서 가장 고생하며 희생이 제일 많이 하는 곳이다. 그렇다고 아무리 잘 해도 잘 했다고 칭찬하지 않는다(마라톤 운동만 빼고^^) 뿐만아니라, 족부는 인간의 미(美)를 추구하는 부분에서도 많이  등한시 되어 있다. 그런 부분을 어루만져주고 따뜻한 물로 씻겨준다는 의미는 어떨까 ? 바로 건강과 관심 그리고 사랑이다.  이처럼 건강에 중요한 부위를 중국인들은 함부로 차가운 곳에 디딜수 없기 때문이다.
0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의 본명년 풍습 인기글 중국의 본명년(本命年) 풍습을 아십니까? 본명년이란 자신의 띠 동물에 해당하는 해를 말합니다. 즉 올해는 기축년이기 때문에 소띠인 13세, 25세, 37세, 49세 등이 자기 본명년을 맞은 것이지요. 중국은 12년마다 돌아오게 되는 본명년이 되면 그 해는 운수가 사납고 액운이 닥친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이러한 미신은 중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민간에서 널리 퍼졌던 속설입니다. 과거부터 지역을 막론하고 본명년이 되면 붉은 색 물건을 집안에 걸어 액운을 피하는 전통이 있었죠. 그래서 지금도 중국인…(2009-03-30 17:04:20)
中 최고 인기 메신저 ‘QQ’로 갑부반열 오른 마화텅 인기글 1971년 생인 마화텅(馬化騰)은 중국에서 열 손가락에 끼는 갑부다. 이름이 생소할 수 있지만, 마화텅은 텐센트(騰訊)의 창업자로 중국 네티즌 대다수가 사용하는 ‘QQ’라는 메신저를 만들었다. 중국 네티즌 96.7%가 사용하는 대표 메신저로 4억명 이상이 등록했다. 중국 내에서는 ‘Q친구’라는 대명사까지 만들어 냈고 다른 산업분야에서 ‘QQ’라는 브랜드를 소위 짝퉁 형식으로 만들어 내기도 했다. 국내 GM대우차의 마티즈 중국산 짝퉁 자동차인 ‘QQ’ 역시 마화텅이 만든 메신저 QQ에서 따온 이름이…(2009-03-30 17:03:00)
중국 네티즌이 보는 2009년 유망 10대 업종 인기글 중국 네티즌이 보는 2009년 유망 10대 업종 - 4조 위앤 내수부양정책 관련 혜택업종 뽑아 - - 물류, 에너지, 전력 등이 상위권에 들어 - 보고일자 : 2008.12.18. 다롄 코리아비즈니스센터 김우정 yuting95@kotra.or.kr □ 중국 네티즌, 4조 위앤 내수부양정책에 높은 관심 보여 ○ 중국 정부의 내수부양 10대 정책 발표 및 이에 따른 투자규모 등의 발표가 잇따르자, 중국…(2009-03-30 16:59:24)
중국에서 하룻밤 저렴하게 보내기 인기글 중국에서 생활하신 분들의 타지방 여행또는 출장시나, 가끔 중국으로 출장 오신분들중 중국물가가 한국보다 여러가지 면에서 다소 싸다고 하지만, 숙박비 만큼은 큰 차이가 나지 않다는걸 실감하실 겁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여러가지 상황을 곁들어 저의 경험담을 소개하겠습니다. 또한 각 급별 호텔의 객실규모, 형태에 따라서 가격이 많이 차이나지만 일반 보통급으로 계산하오니 그점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가. 5성급등 고급 호텔을 이용하고자 할때 중국에서 5성급은 최고급 호텔이며 또한 숙박비…(2009-03-30 16:58:49)
[열람중]중국인, 거실에서 신발벗지 않는 이유는? 인기글 누구나 문화가 다르기 때문인지 알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그 문화가 달라도 그 다른 문화는 어디에서 기인했는지 궁금하지 않을수 없지 않는가 ? 중국인 친구의 집에 가거나, 또는 중국인을 한국으로 초청에서 호텔에 들어갈때나 식사를 하러 갈때 가장 그들과 엇 박자가 생기는게 신발을 벗냐 안 벗냐이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이 답을 3가지로 답을 압축하자면 첫째, 거실문화 즉 주거 생활문화가 다르다.둘째, 건축방식이 다르다.셋째, 건강을 지키기 위함이다. 거실문화를 보면 한국은 온돌인 반면 중국은 …(2009-03-30 16:58:22)
중국이야기 - 현지 숙박과 환전 인기글 몇 일정도의 짧은 기간 숙박은 그리 걱정할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교통이 좋은 시내 한 복판의 호텔 숙박료는 그리 비싸지 않기 때문이다. 대체로 시내 중심지 교통이 좋은 곳의 3성급 호텔 숙박료는 그럭저럭 괜찮은 호텔의 경우 하루 약 3~4만원 이내면 해결된다. 한국 관광객을 위한 ‘한국부’를 두고 있는 곳이 여러 곳 있기 때문에 중국어에 대한 부담도 덜 수 있다. 한국인이 직접 운영하는 호텔도 있다. 대부분의 한국부에는 한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직원이 상주하고 있고 현지 여행정보나 책자를 비…(2009-03-30 16:57:23)
중국의 황제가 좋아하는 숫자 "9" 인기글 중국 고대에서 9는 홀수중 가장 큰 수자로서 보통 제왕과 관련된 모든 사물은 9와 관계되었다. 제왕의 지위를 "九五"라고 하고 제왕을 "九五之尊"이라고 부른다. 그 외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九"와 관련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청동기는 "九鼎"이 있고 황제주위에는 "구경(九卿)"을 설립한다. 조정의 관원들은 지위가 "九品中正"으로 나뉘어 있고 고대 중국의 수도는 九門이 있다. 자금성의 방은 모두 9990.5칸으로 이루어졌다. 중국 자금성 및 황가원림, 행궁의 대문 등은 모두…(2009-03-30 16:56:30)
홍콩-향(香) 자에 대한 유래 인기글 홍콩, 즉 향항은 왜 "香"자가 들어 있을까? 그 원인에 대해 여러가지 설이 있다. 한가지는 바로 여해적에 관한 설이다. 옛날 "향고(香姑)"라는 여해적이 있었는데 한 섬을 근거지로 하고 있었다. 그 뒤로 섬을 "香港"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라고 한다. 다른 한가지 설은 옛날 "香港仔"라는 곳 부근에 큰 폭포가 있었는데 물이 달콤해 항해에 나선 선박은 늘 이 곳에서 담수를 취하곤 했기 때문에 이 곳을 "향항"이라 부르게 된 것이라고 한다. 사실 오래전 석배만 부…(2009-03-30 16:55:05)
中 최대 인구 거주 지역은 '광둥성' 인기글 중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이 광둥성(广東)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장기거주 인구 기준으로 광둥성은 9천449만 명을 기록해 지난해 최다 인구지역으로 조사됐던 허난성(河南)을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 지난 2006년 광둥성 출생인구는 전해보다1만8천300명이 증가했으며, 지난 2007년 출생인구는 3만4백 명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광둥성의 인구증가는 또한 베이이 붐과 함께 다른 지역 인구까지 유입되면서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광둥성 발전개혁위원회 주임 리먀우줸(李妙娟)은…(2009-03-30 16:54:27)
중국에서 성공하는 생활 인기글 1. 중국의 아침은 정말 이르다. 아침을 여유 있게 시작하라. 일찍 일어나 운동도 하고 이웃과의 대화도 나눈다. 중국에서 사업을 성공하려면 중국인들의 새벽습관을 모르고는 안 된다. 새벽에 중국인들이 무얼 먹고 어떤 운동을 하며 인생을 즐기고 살아가는 지를 알아야 장기적으로 그들을 이해하고 그들과 동거 동락할 수 있다. 새벽 공원에 가보라 거기에는 많은 중국인들이 중국을 움직여가고 있다. 물론 중국인들은 저녁에도 ‘양꺼(秧歌)”라고 하여 모여서 춤추고 운동하며 노는 것을 …(2009-03-30 16:50:31)
중국에서 행복감을 가장 크게 느끼는 도시는 항주시 인기글 중국에서 시민들이 행복감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는 도시는 저장(浙江)성 성도 항저우(杭州)로 나타났다.광시·좡주(廣西)자치주 성도 쿤밍(昆明)에서 발표한 ’행복감이 큰 10대 도시’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지난 4년 연속 3위 안에 랭크됐던 항저우가 올해 1위에 올랐다.요망동방주간이 중국시장협회와 공동으로 주관한 이 여론 조사에선 시카고대학 행복학과가 행복감의 평가 기준으로 정한 ▲자연환경 ▲교통상황 ▲발전속도 ▲문명정도 ▲이재 기회 ▲의료 위생 수준 ▲교육 수준 ▲주택가격 ▲치안상황 ▲취업환경…(2009-03-30 16:47:28)
2009년부터 달라지는 새로운 규정 인기글 인터넷 서비스 주민등록번호 없이 가입한다 하이브리드車 개별소비세 면제영어 FM방송 부산ㆍ광주권 확대쇠고기 원산지 이력추적제 시행 ◇ 종합소득세율 인하=내년부터 종합소득세가 단계적으로 인하된다. 내년에는 △과세표준 1200만원 이하 6%(2%포인트 인하) △4600만원 이하 16%(1%포인트 인하) △8800만원 이하 25%(1%포인트 인하) △8800만원 초과 35% 세율을 적용받는다. 2010년에는 과표별로 소득세가 추가 인하된다. 연봉이 4000만원인 4인 가구의 경우 내년엔 121만…(2009-03-30 16:46:42)
어느 절강상인(浙江商人)이 만든 22조규칙 인기글 어느 절강상인(浙江商人)이 만든 22조규칙 1. CCTV-1의 뉴스프로그램은 반드시 본다. 경제의 명맥을 장악하려면, 정치를 주시해야 한다. 뉴스는 글과 그림, 들을 과 볼 것이 있는 중국상인들의 최고의 기상예보이다. 재경뉴스는 안봐도 된다. 초점대담도 안봐도 된다. 네가 석유나 외환관련되는 일을 하지 않는다면 9.11사건이나 중동의 정세도 보지 않아도 된다. 2. 계약이나 약속을 쉽게 믿지 말라. 혹시 계약을 당신의 변호사가 보고, 공증처에 가서 공증을 했더라도 쉽게 믿지는 말라. 심지어 상…(2009-03-30 16:45:51)
中 개혁개방 30년 10대 경제인물은? 인기글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중국어 인터넷판은 전문가와 독자의 의견을 토대로 '중국 개혁개방 30년 10대 경제인물'을 선정했다. 1위에는 중국 개혁개방의 총설계사인 덩샤오핑이 꼽혔다. 다음은 1980년대 토지소유권을 농민에게 넘길 것을 주장하며 농촌개혁을 주도한 '농촌개혁의 아버지' 두룬성 전 중앙농촌정책연구실 주임이 차지했다. 또 홍콩 재벌이며 아시아 최고 갑부인 중국인 리카싱과 롄상그룹 창업자인 류촨즈 회장이 각각 3, 4위에 올랐다. 5위에는 시장경제 도입을 통한 개혁을 부르짖으며…(2009-03-30 16:43:47)
중국-웨이팡 - 최초의 연이 있던 풍경 인기글 겨울이면 연을 날리는 풍경이 그리워지곤 합니다. 가느다란 실 한 가닥에 의지해 겨울 하늘을 유유히 휘젓는 연의 비행. 연을 날리는 최초의 풍경은 중국 산동 웨이팡(유방)에서 있었습니다. 현재 웨이팡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연 박물관이 있는데요. 웨이팡을 찾는 관광객들이 가장 먼저 들르는 곳이 바로 이 ‘웨이팡 연 박물관’입니다. 10여개의 전시실에는 기원전 5세기 중국 고대 사회 때 만들어진 것부터 현대에 들어와 세계 각국에서 만들어진 것까지 다양한 연들이 전시돼 있습니다. 연…(2009-03-30 16:39:00)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