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의 접대-알건 알고 받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09-06-26 10:53|본문
3시간 걸친 만찬, 음식 안배가 중요
중국인은 ‘하오커(好客)’라 해서 손님을 접대하기 좋아하고 또 이를 즐긴다. 평상시 친분이 많지 않던 중국인이 자신의 집으로 초대하는 것은 서로간의 우의를 더욱 발전시키고자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이면 된다. 중국인들은 손님접대에 소홀히 하지 않게 하기 위해 접대 준비에 무척이나 신경을 쓴다. 따라서 중국친구의 칭커(請客,초대)를 받았던 외국인이면 누구나 감동한다. 중국의 접대 문화에 대해 알아보자.
공적인 초대나 직장단위에서 정식으로 초청할때는 초청장을 사전에 보내는 것이 관례이며, 사적인 초대는 전화로 알린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공적이던 사적이던 초청은 하루나 이틀 전에 통보하는 것이 예의다. 또 기억해야 할 것은 중국인들은 연회에 참석할 때 복장에는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에 의상문제로 골머리를 앓을 필요는 없다.
일반 가정에서 손님을 초청할 때에도 집주인은 손님접대에 상당히 신경을 쓴다. 우선 요리의 수가 중요한데 중국에서 홀수는 불길한 조짐을 의미하므로 짝수에 맞춘다. 따라서 아무리 많은 요리를 준비하더라도 이에 대해서는 꼭 주의한다.
◈’상다리 부러질 듯’한 식탁=손님을 초대한 주인은 풍성한 식사와 좋은 술을 대접하는데 우리속담에서처럼 ‘상다리 부러지게’준비한다. 중국인들은 음식과 술을 적게 내놓을 경우 집주인은 손님들이 배부르게 먹지 못한다고 생각하고 손님들은 손님을 맞이하는 중인의 성의가 부족하다고 여긴다. 따라서 손님을 초대한 주인은 질 좋은 음식과 술을 풍성하게 주비해 손님을 대접해야 한다.
식탁에서는 친절과 우의의 표시로 음식을 손수 집어 접시에 놔준다. 손님의 접시에 음식이 비었을 경우 주인은 음식을 더 권하는 것이 예의다. 또 중요한 것은 혼자 음식을 먹는 것은 다른 사람에게 실례이며, 상대를 불쾌하게 만들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또한 담배를 서로 권하는 것도 친밀함의 표시이므로 피우지 못하더라도 권하는 사람의 성의를 최대한 존중하려는 태도를 취하는 것이 좋다.
중국요리에서는 음식을 한번에 차려놓고 먹는 것이 아니라 순서에 맞게 끊임없이 나오므로 순서에 맞추어 안배해 가며 먹는 것도 중요하다. 대부분요리의 순서가 냉채, 야채 볶음요리,고기 볶음요리 순으로 먹는 것이 일반적이며 맛도 끝으로 갈수록 맛깔스럽고 고급의 경우가 많다. 주인은 손님과 함께 식사를 천천히 해야 한다. 손님과 함께 식사를 끝마치는 것이 예의지만 주인이 먼저 식사를 마치게 될 경우, 손님에게 “미안합니다. 저는 다했습니다. 천천히 많이 드세요”라고 말하며, 끝까지 동석한다. 중국의 일반적인 만찬시간은 3시간에 가깝기 때문에 시간을 안배해 천천히 먹는 것도 중요하다.
물고기 요리를 준비하게 되면 물고기의 머리는 항상 손님 쪽으로 향하게 한다. 또한 생선을 먹을 때는 생선을 절대로 뒤집지 않는다. 이는 배가 뒤집어진다는 의미와 같이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는 특히 연해지역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거의 철칙처럼 통한다.
◈풍성한 요리와 술상은 主客관계 나타내=손님을 접대할 때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술과 음료다. 풍성한 요리와 술상을 차리는 것은 주객(主客)의사이가 보통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에서는 식사 전에 요리와 함께 술을 먼저 마신다. 술잔에 술이 조금만 줄어들어도 중국인들은 가득 찬 상태(滿)를 좋아하기 때문에 다시 따른다. 연회를 시작할 때 일반적으로 깐뻬이 (乾杯,잔을 비우는것)를 하며, 때로는 연회를 마치며 깐뻬이를 하기도 한다. 또한 남은 음식과 술을 가져가는 경우는 초대한 사람을 무시한다고 여겼으나, 최근에는 많이 바뀌는 경향이 있다.
◈술 피하면 ‘무시한다.’여겨= 중국에서는 손님을 초청한 경우 술을 많이 마시도록 권하고 초대한 손님이 술을 피하면 자신을 무시한다고 받아들인다. 식사할 때 반주형식으로 항상 술을 곁들이고 손님 접대시는 물론, 친구들과 어울릴 때에도 빠지지 않는다. 하지만 만취할 때까지 마시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술을 스스로의 주량에 맞추어 조절해야 한다.
중국에서는 취객 10경(醉客十景)이라 해서 술 취한 사람의 열 가지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앞의 5경(五景)은 ‘낙(樂, 즐거워하다.), 설(說, 이야기하다), 소(笑,웃다), 조 (조 확인요망), 창(唱, 노래하다.)’이고, 부정적 의미를 가진 나머지 5경은 ‘노(怒, 성내다) 매 (罵, 욕하다), 타(打, 때리다), 곡(哭, 울다), 토(吐, 토하다)’등의 다섯 가지다. 따라서 뒤의 5가지를 조심해야 한다.
술 주정을 혐오하는 중국인들은 술자리에서 ‘화취앤(劃拳)’이라는 가위바위보 놀이를 즐기며 과음을 삼가한다. 화취앤(劃拳)놀이는 말하자면 중국식 ‘묵찌빠’라고 할 수 있는데, 화취앤에서 지면 스스로 벌주 한 잔을 마시고, 잔에 술이 없으면 자기가 부어서 적당히 마시면서 계속 놀이를 하는 것이다. 이 화취앤 놀이는 중국 사람들과 친구가 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