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위 |
구분 |
내 용 | 국가주석 |
정의 |
대내외적으로 국가를 대표하는 국가원수. | 직권 |
전인대와 전인대 상무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법률을 공포. 국무원 총리, 국무위원, 각부 부장, 각위원회 주임 임면. 특별사면령, 계엄령, 전쟁동원령 선포. 국가를 대표해 국외사절 접견. | 성격 |
명목상의 국가원수. 명목상인 이유는 국가주석이 군 통수권이 없으며 전인대의 감독을 받기 때문. 과거에 폐지된 적도 있고, 은퇴 지도자에 대한 명예직의 성격(이선념, 양상곤의 경우)이 강했던 적도 있었으나 강택민 이후 점차 실질적 권한 행사 강조. | 공산당 총서기 |
정의 |
공산당 정치국상무위원회 위원장으로서 당 대표 | 직권 |
당 중앙위원회에서 선출하며, 당 중앙정치국, 중앙정치국상무위원회를 대표하고, 당의 모든 사업을 관장하며, 대외적으로 공산당을 대표 | 성격 |
중국에서 실질적인 권력서열 1위 | 전인대 상무위원장 |
정의 |
헌법상 국가 최고 권력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를 대표하는 직위 | 직권 |
전인대 상무위원회에서 선출되며 직능상 우리의 국회의장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나 권한이 더욱 포괄적 . 전인대 상무위원회의 업무 , 즉 기본법외 기타 법률의 제정 , 개정 , 보충 . 헌법과 법률의 해석 , 집행 및 주요 기관의 업무 감독 . 국민경제와 사회발전계획을 심사, 비준하고 예산조정, 국무원의 인사를 결정하며 전인대를 소집하는 등의 업무를 총괄 | 성격 |
형식상으로는 국가 최고대표기관의 수장이지만 실제로는 공산당 서열 2위 지도자가 담당 | 국무원 총리 |
정의 |
국가 행정기관에 해당하는 국무원을 대표 | 직권 |
국무원의 모든 권한과 업무를 수립, 집행, 감독 | 성격 |
행정 수반에 해당하지만 실제로는 공산당 권력 3위 혹은 4위 지도자가 담당 | 정협 주석 |
정의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대표 | 직권 |
중국공산당 및 정부 정책?법령을 선전하고 관계 업무의 자문 역할을 대표 | 성격 |
과거, 특히 문화대혁명 기간에는 기능이 거의 상실되기도 했으나 개혁개방 이후 사회, 경제적 이해관계가 복잡해 집에 따라 대내외적 역할 확대, 강화되고 있음. 주석직은 공산당 권력서열 3위나 4위 지도자가 담당 | 군사위원회 주석 |
정의 |
중국 인민해방군의 통수권자 | 직권 |
인민해방군을 지휘, 감독 | 성격 |
주석직은 공산당 서열 1위 지도자가 겸임. 마찬가지로, 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중앙위원회에서 결정하고, 국가 중앙군사위원회는 전인대에서 선출하지만, 사실상 이 두 위원회는 완전히 동일 인물들로 구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