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 문화&습관] 중국인들 "뜨거운 것이 좋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09-03-30 13:16본문
중국 문화를 논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차’문화다. 중국 전역 어디서나 중국인들이 저마다의 물통에 한 가득 차를 갖고 다니며 마시는 모습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중국의 아침·저녁 등하교시간과 출퇴근 시간 풍경은 참으로 이색적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손에 물통을 들고 학교에 등교하며, 직장인들 역시도 뜨거운 물을 받아 마실 물통을 챙긴다.
그렇다면 중국인들은 왜 이렇게 차 마시는 것을 좋아하는 것일까? 중국의 차 문화는 비교적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먼저, 일찍이 진나라 시대부터 차는 병을 고치는 약재로 사용했다. 장기간 약초로 사용되면서 차가 병을 고칠 수 있을뿐 아니라 갈증을 해소하는 음료수로써의 인식을 넓혀갔다.
이때부터 중국에서 많은 농가들이 찻잎을 재배하기 시작했으며, 각 지역에서는 경쟁적으로 차를 지역특산품으로 만들어 냈다.
중국인들이 차를 좋아하는 이유로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첫째 다이어트 효과다. 중국음식은 많은 기름을 사용해서 만들기 때문에 차를 마심으로써 음식속에 있는 기름기을 제거해 비만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중국인들이 비교적 마른 체형임을 감안 하면 어느 정도 설득력있다.
다음으로 상하수도가 낙후돼 물을 끓이지 않고서는 먹을 수 없다는 것이다. 중국 정부조차도 수돗물을 끓여 마실 것을 홍보하고 있다. 하지만 여름철 40도를 넘나드는 무더위 속에서도 끓인 물을 마셔야 하는 슬픔은 이방인들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다.
여름철 식당에서도, 음료수를 파는 작은 가게와 술집에서도 특별히 시원한 물과 음료, 술을 주문하지 않는 이상 시원하게 냉장처리된 것을 마시기는 어렵다.
한편, 대학 곳곳에는 수십 명이 동시에 뜨거운 물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있어 학생들아 큰 보온 물통에 물을 채워 기숙사로 돌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젊은이들 사이에서 차를 마시는 생활습관이 점점 약해지고 있다. 전징(신문학과·20) 학생은 “요즘은 젊은이들은 차보다 음료를 더 선호한다. 차의 쓴 맛과 찻잎을 뜨거운 물에 우리고 하는 과정이 번거롭게 느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아침·저녁 등하교시간과 출퇴근 시간 풍경은 참으로 이색적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손에 물통을 들고 학교에 등교하며, 직장인들 역시도 뜨거운 물을 받아 마실 물통을 챙긴다.
그렇다면 중국인들은 왜 이렇게 차 마시는 것을 좋아하는 것일까? 중국의 차 문화는 비교적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먼저, 일찍이 진나라 시대부터 차는 병을 고치는 약재로 사용했다. 장기간 약초로 사용되면서 차가 병을 고칠 수 있을뿐 아니라 갈증을 해소하는 음료수로써의 인식을 넓혀갔다.
이때부터 중국에서 많은 농가들이 찻잎을 재배하기 시작했으며, 각 지역에서는 경쟁적으로 차를 지역특산품으로 만들어 냈다.
중국인들이 차를 좋아하는 이유로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첫째 다이어트 효과다. 중국음식은 많은 기름을 사용해서 만들기 때문에 차를 마심으로써 음식속에 있는 기름기을 제거해 비만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중국인들이 비교적 마른 체형임을 감안 하면 어느 정도 설득력있다.
다음으로 상하수도가 낙후돼 물을 끓이지 않고서는 먹을 수 없다는 것이다. 중국 정부조차도 수돗물을 끓여 마실 것을 홍보하고 있다. 하지만 여름철 40도를 넘나드는 무더위 속에서도 끓인 물을 마셔야 하는 슬픔은 이방인들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다.
여름철 식당에서도, 음료수를 파는 작은 가게와 술집에서도 특별히 시원한 물과 음료, 술을 주문하지 않는 이상 시원하게 냉장처리된 것을 마시기는 어렵다.
한편, 대학 곳곳에는 수십 명이 동시에 뜨거운 물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있어 학생들아 큰 보온 물통에 물을 채워 기숙사로 돌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젊은이들 사이에서 차를 마시는 생활습관이 점점 약해지고 있다. 전징(신문학과·20) 학생은 “요즘은 젊은이들은 차보다 음료를 더 선호한다. 차의 쓴 맛과 찻잎을 뜨거운 물에 우리고 하는 과정이 번거롭게 느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