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지식소비(知識付費) 관련 유료 콘텐츠 시장 확대 추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8-03-21 14:48본문
중국, 지식소비(知識付費) 관련 유료 콘텐츠 시장 확대 추세
2018-03-21
1. 개요
□ 지식소비(知識付費)란 디지털 콘텐츠, SNS 플랫폼, 동영상, 실시간 방송 등 모바일 기반의 지식 콘텐츠를 일부 소비자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유료로 콘텐츠를 이용하는 현상을 말함.
·중국 지식소비 개념은 최초로 ‘펀다아’(分答)라는 온라인 플랫폼을 출시로 대중에게 알려짐. 사용자가 이 플랫폼을 통해 자기의 질문을 1분 안에 답변하는 응답자에게 일정한 비용을 지불하는 운영방식임
·그 후 많은 온라인 플랫폼은 지식소비 트렌드를 인식하며 각 산업별 전문가를 섭외해서 기존 ‘Q&A’모드 뿐만 아니라 산업별 인터넷 강의를 개최하여 수익을 얻고 있기도 함
2. 중국 지식소비 산업 발전 역사 및 현황
가. 중국 지식소비 산업 발전 역사
(1) 시장형성단계 (2016년 이전)
□ 2013년 지식 동영상 채널 ‘로직쓰웨이’(羅輯思緯)가 유료 회원제로 운영하여 처음으로 지식소비의 개념을 도입했음
□ 2014년 중국정부가 음악 및 음성파일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 일련의 정책을 세웠음. 일부 음원을 제공하는 플랫폼은 정책에 따라 음악을 다운로드할 때마다 일정한 이용료를 부과기 시작했음
□ 2015년 중국 동영상을 제공하는 사이트들도 유료회원제를 시행하기 시작 했음. 월간별, 분기별 및 연도별로 이용료 수취 기준을 제시했음
(2) 발전시작단계 (2016년)
□ 2015년 11월‘드다오’(得到)APP가 정식으로 출시되었으며 그리고 2016년 3월 위챗의 영상채팅 기능을 이용해서 만들어진 온라인 지식 커뮤니티‘치안라이오’(千聊)도 나타났음
□ 2016년 4월 지식소비 사이트‘즈후’(知乎)는 비용을 낸 후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채널‘쯔후’(値乎)을 및 실시간 응답채널 ‘즈후(知乎)Live’도 출시하였음
□ 5월 음성문답 온라인 플랫폼‘펀다아’(分答)도 오픈되어 6월 온라인 라디오 플랫폼 ‘씨마라야’(喜馬拉雅)FM도 ‘후페이징핑’(付費精品)라는 유료채널을 설정하여 자체 제작하는 유료 라디오 프로그램‘하오하오쏘화’(好好說話)를 시범 운영하기 시작했음
□ 음성 뿐만 아니라 6월 동영상을 제공하는 ‘드다오’(得到)APP는 유료 정기 구독 채널을 설정하여 지식 콘텐츠 시장경쟁에 동참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