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조선족 교수 박우,재한조선족을 말하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9-02-13 16:53|

본문

조선족 교수 박우,재한조선족을 말하다 

 

“조선족 커뮤니티는 한국 사회 그 자체” 

 

중국 지린성 출신인 박우 한성대 교수는 ‘재한 조선족 커뮤니티’를 10여 년 동안 연구해 박사 논문을 완성했다. 그에게 ‘이주민 출신 연구자의 시선으로 관찰한 대림동’에 대해 들어보았다. 시사인 

 

박우(37) 한성대 교양교직학부 교수는 윤동주 시인의 고향으로 잘 알려진 중국 지린성 룽징(용정) 출신이다. 2005년 한국으로 유학 왔다. 당시 우연한 계기로 서울 가리봉동에서 재한 조선족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자진 출국’ 상담을 돕게 되었다. 그 경험이 박 교수를 재한 조선족 집거지 연구로 이끌었다. 연구 과정에서 재한 조선족 커뮤니티의 중심이 가리봉동에서 대림동으로 옮아가는 걸 목격하기도 했다. 

 

박우 교수(사진)는 한국 근현대사에서 보인 개발주의 광풍이 재한 조선족 사회에서도 그대로 드러났다고 말한다. 

10여 년에 걸친 참여 관찰 연구 끝에 박사 논문 <재한 조선족 집거지 사업가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서울대 사회학과, 2017)를 완성했다. 같은 재한 조선족이더라도 시민권이 부여된 경로·시기·자격이 각각 달랐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이 획득하는 ‘기회 구조’도 달랐다. 이는 곧 재한 조선족 분화로 이어졌다. 한국 근현대사에서 보인 개발주의 광풍이 재한 조선족 사회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박 교수는 가리봉동과 대림동 같은 재한 조선족 커뮤니티는 그 자체로 한국 사회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1월14일 이주민 출신 연구자로 오랜 기간 지역에 밀착해 있었던 박 교수를 만나 ‘연구자의 시선으로 관찰한 대림동’에 대해 물었다. 

 

재한 조선족 커뮤니티를 연구하기 시작한 게 2005년이다. 당시에는 가리봉동이 가장 큰 조선족 커뮤니티였다. 

 

2005~2006년 법무부가 자진출국제도를 시행했다. 2004년 재외동포법을 개정했고, 2007년 방문취업제도 도입 전까지 일종의 준비 기간이었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사람들이 집밖으로 잘 나오지 않았다. 불법체류 신분이라 밖에서 활보하기 어려웠다. 법적 신분이 안정을 찾으면서 사람들이 거리로 나오고, 상권이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대림동 얘기가 나온 것도 이즈음(2006년)부터다. 식당 하는 분들도 가리봉동이 포화상태가 되면서 대림동 쪽으로 가야 한다고 얘기하기 시작했다. 가리봉동은 공단 노동자가 거주하기 위한 공간이지만, 대림동은 집도 넓고 상가도 컸다. 

 

재한 조선족 사이에서 중산층이 출현한 것도 그즈음부터인가? 

 

양꼬치 식당이 등장하기 시작한 게 2005~2006년이다. 처음에는 공사장에서 일하고, 그러다 돈을 모아 가게를 여는 식으로 자본을 축적했다. 결국 지역에서 여러 목소리를 내는 건 사장들이다. 커뮤니티 안에서 이른바 중국동포들의 권익을 위해 목소리 내는 사람 중에 노동자가 없었다. 자영업을 하는 ‘프티부르주아지’가 지역 담론을 대변하고 대표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재한 조선족 사이에서 ‘불평등’ 문제는 어떻게 발생하게 되었나? 

 

재외동포법 개정 이후 방문취업제도가 실시되면서 사람마다 기회 구조가 달라졌다. 국가가 비자 체계를 통해 일종의 ‘위계적 시민권’을 부여했다. 국가도 나름 이유가 있었다. 다양한 국민의 목소리를 반영해야 하기 때문이다. 공동체를 위해 얼마나 공헌했는지 따져보고 시민권을 준 셈이다. 일종의 ‘공헌적 권리’다. 

 

각 이주민의 공헌도를 판단하는 건 결국 국가라는 이야기인가? 

 

그렇다. 그런데 공헌도를 판단하는 근거가 굉장히 개발주의적이다. 학력이 높거나 자본이 많으면 대한민국 국민에 가까운 권리를 주고, 그것도 안 된다면 신체라도 건강해야 한다. 그래야 산업노동력으로서 권한을 주는 거다. 

 

그렇게 얻은 ‘기회’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달랐나? 

 

예를 들어 재외동포(F4) 비자는 국민에 준하는 권리를 갖는다. 선거권·피선거권을 빼면 경제적 권리는 누릴 수 있다. 반면 방문취업(H2) 비자는 일종의 ‘동포 노동자’ 권리다. 비자가 끝나면 다시 나갔다가 들어와야 한다. F4는 전문직도 할 수 있고, 자본 소유도 가능하니까 여기서 쭉 살 수 있다. H2나 단기체류(C3) 비자는 동산 소유가 안 된다. 이 차이로 인해 F4를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 자본가가 출현했다. 안 그래도 인적자본과 사회자본이 다 다른데, 국가가 추가로 자격을 매겨준다. 여기서 분화가 촉발됐다. 한국 사회의 불평등 메커니즘과 닮았다. 

 

중산층만 되어도 다들 자신의 성공에 자부심을 가지더라. 

 

개발주의적인 사고가 잘 드러나는 모습이다. 연구를 위해 인터뷰하다 보면 다 본인이 힘들었던 얘기를 한다. 1960~1970년대 한국인이 고도성장 과정에서 분투했던 모습이 보인다. (그런 자부심을 갖게 된 것 자체가) 이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성공한 이들이 한국 주류 사회로부터 인정받고자 경쟁하는 모습도 보았다. 

 

메인스트림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크다. 여기에서도 개발주의적 마인드가 드러나는 게, 일부 중산층들은 “내가 가방끈이 짧다”라면서 몸을 사린다. 상을 받거나, 공적인 자리에 서야 하면 언어 구사가 서투르니까 선뜻 나서지 못하는 분들도 있다. 단체끼리 경쟁하는 경우도 있는데, 오히려 경쟁 때문에 단체들이 건강해지는 면도 있다. ‘우리는 정관이 있다’ ‘회원이 얼마다’ ‘우린 이사회 연다’ ‘우린 감사도 있다’는 식으로, 시스템을 근거로 서로 우위를 점하려 한다. 

2010년대 들어 다양한 조선족 단체가 설립되었다. 

위는 재한 조선족 사회의 큰 단체 중 하나인 CK여성위원회의 2018년 송년회 모습. 

 

살아온 체제와 문화가 달라서 충돌하는 문제도 있을 것 같다. 

 

쓰레기 분리수거 문제도 마찬가지다. 중국은 국가가 모든 영역에 개입해서 관리했다. 처음 한국에 온 사람들은 애초에 분리수거라는 걸 몰랐다. 중국에서는 쓰레기를 버릴 때 ‘위생비’를 납부하면 관리자(국가)가 알아서 한다. ‘거버넌스’도 한국에서는 ‘협치’로 번역하지만 중국에서는 ‘치리(治理)’라고 부른다. 위에서 아래로 지시하는 방식이다. 이를테면 사람이 지나가면 차가 양보를 하잖나. 이걸 최근 중국에서는 CCTV로 찍어서 벌금을 때리는 식으로 강제로 질서를 만든다. 치리의 대표적인 사례다. 

 

다른 갈등도 비슷한 맥락인가? 

 

‘개인주의에 대한 상상의 차이’가 있다. 개인주의라는 게 내가 잘되기 위해 너도 잘되어야 한다는 이해와 같다. 중국에서는 내가 능동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배우지 못했다. 쓰레기 분리수거 말고도 고성방가 문제라든가, 흡연 문제도 마찬가지다. ‘내가 할 수 있는 행동은 이 정도고 하면 안 되는 행동은 이 정도다’라고 선을 그었을 때 한국인의 기준과 충돌하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노동자층에서 불평등에 대한 불만이 제기됐을 것 같은데. 

 

파편적으로는 있지만 집단화되기는 어렵다. 대형 공장을 중심으로 한 동네에 계속 산다면 노동조합이라도 만들겠지만, 이 동네에서는 비정규직으로 계속 옮겨 다녀야 하니까 세력화가 어렵다. 동네에 대해 얘기하고 동네 이미지에 민감한 건 결국 상인들이다. 상인은 지역 주민 아이덴티티가 강하지만, 일용직 노동자에게 대림동은 어차피 떠날 곳이다. 중국으로 간다는 게 아니라, 한국 내 여기저기 옮겨 다니며 일한다는 뜻이다. 

 

대림동에 한족 출신 중국인이 늘고 있다. 언젠가는 대림동이 이들로 대체될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쉽지 않다. 한족 출신 중국인은 법적 지위를 획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재한 조선족은 예외적으로 법적 지위를 얻었다. 한국의 ‘동포적 세계화’ 덕분이다. 자본이 해외에 진출하는 과정에서 그 지역 교민과 동포가 미들맨 구실을 했다. 재외동포법도 처음에는 재미교포와 유럽 지역 교민을 위한 것이었다(1999년 제정 당시 중국동포는 해당되지 않음). 그래서 초반에는 중국이나 구소련 동포에게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없었다. 정치 환경이 그랬으니까. 그런 게 풀리면서 중국동포라는 일종의 혈통적·법적 카테고리가 출현한 것이다. 

 

사실 ‘조선족’이라는 경계는 한국에 오는 순간 무의미해진다. 귀화하면 동포라는 흔적도 사라진다. 조선족은 시간이 지나면 결국 사라지는 개념인가? 

 

중국에서도 이미 그 자체가 일종의 ‘시티즌십’이다. 한국에 80만명이 와 있다고 하지만, 동북 지역에 여전히 80만~90만명, 중국 내 대도시에 10만명 정도 분산되어 유지되지 않을까. 지금 동북3성도 농촌 지역은 다 비었다. 대도시에서 클러스터화된다. 조선족 공동체가 붕괴된다며 우려하는 이들도 있는데, 오히려 도시에 모여 살면서 교육 기회가 늘었다는 장점도 있다. 이런 도시 집중 현상은 중국동포뿐 아니라 중국 전역이 겪는 문제다. 

 

일각에서는 아예 대림동을 차이나타운으로 관광 상품화하자는 의견도 있다. 

 

상권에 영향을 받는 사람과 실제로 거주하며 사는 사람들 사이에 이해가 충돌한다. 대림동에는 이미 한국화된 중국동포가 많다. 그래서 오히려 ‘중국동포타운’ 같은 걸 조성하려는 움직임을 싫어한다. ‘차이나타운으로 개발하고 정비하자’는 것도 너무나 한국적인, 개발주의적 마인드다. 1990년대 한국식 지역 개발과 닮았다. 대림동에는 한국화를 넘어서 서울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이들이 많다. 아이들한테 중국 지역 사투리 대신 표준말을 쓰게 하려고 노력한다. 흔히 ‘초국적 이주’라고 하지만, 어떻게 보면 (대림동 이주는) ‘초국적 상경’이라고 볼 수 있다. 

 

시사인2019년 02월 08일 금요일 제594호 

0

동포사회 목록

동포사회 목록
연변과기대 AMP과정 또 62명 수료, 총910명 수료 인기글 AMP과정 또 62명 수료, 총910명 수료과기대, 최고경영자과정​​ 연변과기대 최고경영자과정 제17기 수료생들​연변대학과학기술학원(이하 연변과기대) 최고경영자과정(AMP) 제17기 수료식이 2일, 연변대학과학기술학원 상경학원에서 개최되였다.​2002년 3월에 개설된 연변과기대 AMP과정은 연변 지역사회 및 …(2019-03-04 10:44:30)
연변부덕팀, 세금체불로 해체...갑급리그 퇴출 인기글 연변부덕팀, 세금체불로 해체...갑급리그 퇴출 조선족의 '축구명함' 연변부덕팀이 세금 체불로 해체됐다. 따라서 갑급리그서도 퇴출했다. 25일, 연변팀 스폰서 부덕그룹은 연변주체육국과 체불 세금 납부 문제를 놓고 최후 협상을 가졌다. 국내 유명 스포츠매체 체육주보는 "협상 결과 연변부덕팀은 세금 체불로…(2019-02-27 03:06:01)
조선족 이주민들은 왜 대림동으로 옮겼을까 인기글 시사IN 신선영​중국인들이 많이 사는 서울 구로구 가리봉동의 ‘벌집’ 주택. 1978년부터 시작된 중국 정부의 개혁개방 정책은 상하이·칭다오 등 연해 지역의 성장을 이끌었지만 전통적 중공업 지역이던 동북3성(헤이룽장성·지린성·랴오닝성)은 오히려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이 지역에 모여 살던 중국 조선족은 1990년대 …(2019-02-13 18:24:51)
[열람중]조선족 교수 박우,재한조선족을 말하다 인기글 조선족 교수 박우,재한조선족을 말하다 “조선족 커뮤니티는 한국 사회 그 자체” 중국 지린성 출신인 박우 한성대 교수는 ‘재한 조선족 커뮤니티’를 10여 년 동안 연구해 박사 논문을 완성했다. 그에게 ‘이주민 출신 연구자의 시선으로 관찰한 대림동’에 대해 들어보았다. 시사인 박우(37) 한성대 교양교직학부 교수는 윤동…(2019-02-13 16:53:44)
미치지 않으면 미치지 못한다-세계 지도를 한어로 정복한 조선… 인기글 미치지 않으면 미치지 못한다-세계 지도를 한어로 정복한 조선족 청년 씨커지도는 어떤 회사이고 이 앱을 “稀客地图”라고 부르게 된 원인은?​ [씨커지도는 해외 려행을 하는 중국 관광객들을 위해 개발한 앱입니다. 현재 세계 100여개 나라의 관광정보가 입력되여 있고 사용자수가 1000만명선을 돌파했습니다. 그리고 중국…(2019-02-03 15:35:16)
최강 두뇌! CCTV1 프로에서 불가능에 도전해 중국을 놀래… 인기글 최강 두뇌! CCTV1 프로에서 불가능에 도전해 중국을 놀래운 조선족 지난 27일 중앙방송종합채널 (CCTV-1) 저녁 8시 &lt;도전 불가능, 화이팅 중국&gt;(挑战不可能之加油中国)프로에서 연변주재정국 청년간부 오미령씨가 최고 난도 주산속셈인-쌍뇌운산에 도전했다.​ 번개처럼 빠르게 나타났다가 사라…(2019-01-30 15:34:07)
조선족 백설매교수, 전세계 최고 환경상인 VOLVO환경상 수… 인기글 조선족 백설매교수, 전세계 최고 환경상인 VOLVO환경상 수여 도시화는 현시대 최고의 사회변혁 중 한부분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이 전례 없는 도시화 실현에 직면한 것은 력사상 가장 위대한 인류의 안치실험으로 될 것이다”​  북경사범대학 객좌교수이자 지표과정 및 자원생태 국가급중점실험실학술위원회 위원인 오스트랄리아 국립대…(2019-01-30 15:28:47)
조선족 기업인 김의진, 한국 대통령상 수상 인기글 조선족 기업인 김의진, 한국 대통령상 수상 ​ 새해의 벽두, 유명한 조선족 기업인이며 사회활동가인 김의진(金毅振, 63세)이 한국 ‘대통령상’을 수상했다는 훈훈한 소식으로 민족사회는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1월 2일 오전 10시, 노영민(卢英敏) 주중한국대사는 주중한국대사관에서 개최된 ‘2019년 시무식 및 신년하…(2019-01-30 15:22:53)
작지만 큰 사람—광둥위성TV 조선족 앵커 최문혜 인기글 작지만 큰 사람—광둥위성TV 조선족 앵커 최문혜 ​태풍 속 리포팅 장면으로 대륙을 달궜던 조선족 여기자 광둥위성TV의 앵커 조선족 최문혜 씨(35)​광둥위성TV에 조선족 미녀 앵커가 있다. 그녀는 뛰어난 미모와 재능뿐 만이 아닌 방송인으로서의 끈기와 열정, 프로패셔…(2019-01-30 15:18:36)
재중동포 2세 작곡가 안승필, 中 국립오케스트라 첫 아리랑 … 인기글 재중동포 2세 작곡가 안승필, 中 국립오케스트라 첫 아리랑 연주 재중동포 2세 안승필 작곡가의 첼로 협주곡 `아리랑`이 중국 베이징에 울려 퍼졌다. 지난 13일 중국인 관객 8000여 명이 자리를 꽉 채운 베이징음악회관에서는 안승필 작곡가가 첼로 협주곡 형태로 창작한 `아리랑`이 중국 국립오케스트라와 수석 첼리스트…(2019-01-30 15:07:53)
선양해제승기계유한회사, 끊임 없는 연구 개발로 새 신화 창조 인기글 선양해제승기계유한회사, 끊임 없는 연구 개발로 새 신화 창조   중국연초공사 건조기 사용량의 90% 차지  전국 곡물 건조기 시장 점유율 1위 차지  중국 건조기 분야 유일한 대외 수출 기업 요녕성 선양시 화평구 만융공업단지 내 5만㎡ 부지를 차지하고 일떠선 선양해제승기계유한회사(沈阳海帝升机械有限公司)(이하 ‘해제승…(2019-01-30 15:03:35)
청화대학 조선족 박사 입학식 강연 인기 쑥쑥 인기글 청화대학 조선족 박사 입학식 강연 인기 쑥쑥 일전 청화대학 연구생회 주석 김우호(조선족)박사가 전교 연구생을 대표해 청화대학 2018급 연구생 입학식에서 강연한 동영상이 인터넷에 퍼졌다. 긍정에너지를 가득 담은 그의 강연 모습이 인테넷에 오픈되자 순식간에 인기인으로 올랐다.​ ▲사진= 김우호박사가 전교 연구생을 대…(2019-01-30 14:55:34)
조선족음악계의 ‘큰 심부름군’ 인기글 조선족음악계의 ‘큰 심부름군’ 중국조선족음악연구회 명예회장 박장수 “후세대들의 밑거름이 되여주고싶다” 중국조선족음악연구회 설립자 박장수 선생은 평생을 민족음악발전을 위한 '심부름군'으로 헌신하고 있다. ​중국조선족음악연구회가 중국음악가협회 클라리넷학회와 손잡고 연변대학에서 “중국조선족클라리넷작품음악회…(2019-01-30 14:50:38)
우주비행 마이크로파 원격탐지기술의 선두주자 강경산 원사 인기글 우주비행 마이크로파 원격탐지기술의 선두주자 강경산 원사 중국과학원 우주과학응용연구센터는 중국우주항공연구분야의 최고 두뇌가 집결해 있는 곳이다. 우주물리와 우주환경, 마이크로파리모트센싱(微波遥感), 전자정보 분야의 과학자들이 이곳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업적을 창조하면서 인류의 미래를 밝혀가고 있다. ​  그속에 탁월…(2019-01-30 14:43:55)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4년 龍의 힘찬 기운을 받아 건강부자가 되세요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